· 『亂中日記』
· 『亂中雜錄』
· 『盤谷亂中日記』
· 『象村集』
· 『宣祖實錄』
· 『?尾?』
· 『養浩堂日記』
· 『隱峰全書』
· 『李忠武公全書』
· 『壬辰狀草』
· 『懲毖錄』
· 강봉룡, 2002, 「한국의 해양영웅 장보고와 이순신의 비교연구 - 장보고 축제와 진남제의 역사적 맥락」『지방사와지방문화』제5권 제1호, 역사문화학회
· 강봉룡, 2005, 「진도 벽파진의 고?중세 ‘해양도시’적 면모」『지방사와 지방문화』제8권 제1호, 역사문화학회
· 강봉룡, 2007, 「한국 해양사 연구의 몇 가지 논점」『도서문화』제33집, 도서문화연구원
· 김기승, 2002, 「역사학적 측면에서 이순신 연구방향」『이순신연구논총』2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김미경, 2006, 「명량대첩과 진도」『이순신연구논총』6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김수용, 1997, 「이순신?넬슨?도오고 제독의 해전 비교」『군사논단』12권, 한국군사학회
· 김영환, 2004, 「이순신의 해전과 호남인의 애국정신」『정치정보연구』7호, 한국정치정보학회
· 김일상, 1985, 「명량해전의 전술적 고찰」『국방연구』28호,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 김일상, 1996, 「충무공 이순신과 넬슨 제독의 해전 비교연구」『군사논단』8호, 한국군사학회
· 김태준, 2006, 「이순신과 넬슨 제독에 대한 비교연구」『해양전략』제130호, 해군대학
· 나종우, 1981, 「이순신 장군의 전략전술」『전북사학』5, 전북사학회
· 박제광, 2006, 「정유재란기 조?명수군의 연합작전과 노량해전」『이순신연구논총』6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방상현, 1998, 「이충무공의 정유재란 소고」『사학연구』제5556호, 한국사학회
· 언더우드, 1992, 「임진왜란과 이순신 장군의 해전」『해양한국』75, 한국해사문제연구소
· 윤유숙, 2007,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 발발전 한일교섭 실태」『일본학보』제70집, 한국일본학회
· 이매영, 2003, 「조?명 연합함대의 형성과 노량해전 경과」『역사학보』, 178호 역사학회
· 이민웅, 2002, 「정유재란기 칠천량해전의 배경과 원균 함대의 패전 경위」, 『한국문화』29호,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 이장희, 1999, 「양향조달의 실태」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 장학근, 1995, 「임란기 선조의 전략사고와 수군의 입장」『동서사학』1호, 한국동서사학회
· 정진술, 2000, 「조선 수군의 임란 초기 대응에 관한 연구」『해양전략연구』제25집 해사 해군해양연구소
· 정진술. 1993,「한산도해전 연구」『임란 수군 할동 연구 논총』, 해군군사연구실
· 제장명, 2006, 「노량해전의 역사적 의미」『이순신연구논총』7호, 순천향대학교
· 제장명, 2008, 「정유재란기 명량해전의 주요쟁점과 승리요인 재검토」『동방학지』제144집, 연세대학교출판부
· 조성도, 1983, 「명량해전연구」『역사교육논집』4호, 역사교육학회
· 최남선, 1980, 「이순신과 넬슨」『국민윤리연구』10호, 한국국민윤리학회
· 충무공 이순신장군 순국해역 조사단, 2005, 「문헌조사를 통한 이순신 순국해역 추정」『이순신연구논총』4호, 순천향대학교
· 황정덕, 2006, 「이충무공과 진해」『이순신연구논총』통권 제7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강봉룡, 2005,『바다에 새겨진 한국사』, 한얼미디어
· 김산호, 2005,『이순신 - 조선해군의 대제독』, 다물넷
· 노중평, 2011,『한국의 수군』, 수서원
· 박기봉, 2006,『충무공 이순신 전서』, 비봉출판사
· 오붕근, 1998,『조선수군사』, 한국과학출판사
· 육군본부, 1968, 『한국군제사 - 근세 조선 전기 편』
· 윤영수, 2005,『불패의 리더 이순신, 그는 어떻게 이겼을까』, 웅진씽크빅
· 이민웅, 2004,『임진왜란 해전사』, 청어람미디어
· 이봉수, 2008,『이순신이 싸운바다 : 한려수도』, 새로운사람들
· 이순신역사연구회, 2005,『이순신과 임진왜란』, 비봉출판사
· 이진이, 2008,『이순신을 찾아 떠난 여행』, 책과함께
· 이형석, 1994,『임진전란사』하, 임진전란사출판위원회
· 조원래, 2005,『새로운 관점의 임진왜란사 연구』, 아세아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