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박천욱, 『교과서보다 쉬운 독학 국사』, 도서출판 일빛, 2009.
· 『역사비평』편집위원회,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2002.
· 2. 논문
· 김기근,「한유의 불교 배척과 여말선초의 배불론」,『윤리연구』, Vol.42, 1999.
· 김석근,「개혁과 혁명 그리고 주자학 - `여말선초`를 산 정몽주와 정도전의 현실인식과 비젼 -」,『아세아연구』, 통권 97호, 1997, pp.101-159.
· 김석근,「조선의 "건국"과 "정치체제 구상"에 대한 시론적 접근: 몇 가지 쟁점과 관찰하여」,『동양정치사상사』, Vol.7 No.2, 2008.
· 김수영,「원, 명 교체와 여말선초의 화이론 (華夷論)」,『한국중세사연구』, Vol.10, 2001.
· 김영수,「여말선초의 역사적 도전과 실천 성리학/정몽주와 정도전의 《역사-천도》론을 중심으로」,『한국정치연구』, Vol.10, 2001.
· 김인호,「여말선초 정치세력의 변화와 정치이념」,『한국역사연구회회보』, 제32호, 1998, pp.11-16.
· 김인호,「[김영수, 『건국의 정치-여말선초, 혁명과 문명전환』, 이학사, 2006] 고려 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 건국」,『정치사상연구』, 제13집 1호, 2007, pp.137-142.
· 박찬승,「특집 : 인문정신의 회복과 한국학의 길 찾기 ; 한국학 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Vol.35, 2007.
· 박홍식,「제 6회 유교사상국제학술회의 유교사상과 평화정신 : 여말선초의 척불론쟁」,『유교사상연구』, Vol.11, 1999.
· 이동희,「여말선초 주자학의 도입과 유儒·불佛 교섭」,『동양철학연구』, Vol.17, 1997.
· 이석규,「여말선초(麗末鮮初) 신흥유신(新興儒臣)의 민에 대한 인식」,『조선시대사학보』, Vol.31, 2004.
· 이익규,「[특집:여말선초 정치세력과 정치운영론] 고려 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 건국」,『역사와현실』, Vol.29, 1998, pp.12-41.
· 전락희,「제2부 조선의 개혁사상과 정치변동: 여말선초의 개혁사상」,『한국정치의 재성찰』, 1996.
· 최연식,「麗末鮮初의 政治認識과 體制改革의 方向設定 - 李穡, 鄭道傳, 權近을 중심으로」,『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17, 1997, pp.111-142.
· 최영진,「여말선초 사대부의 대응양상과 사상적 전환」,『국학연구』, 제5집, 2004, pp.31-50, 333.
· 최종택,「여말선초 지방품관의 성장 과정」,『학림』, Vol.15, 1993.
· 홍영택,「서평: 여말선초 사회변동의 이해를 위한 새로운 출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2005 《중세사회의 변화와 조선건국》(혜안))」,『한국사연구』, Vol.13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