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개토대왕릉비 [廣開土大王陵碑 ] | 네이버 백과사전
· 이영식(인제대교수)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북한 역사학계의 입장 」
· 정인보의 연구 논문(<광개토경평안호태왕릉비문석략>, 1955, 文敎社
·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 분과 저, 「고대로부터 통신」, 푸른역사, 2004, 389페이지
· 이형구?박노희, 「공개토대왕릉비 신연구」, 양지사, 1986
· 김병기,「사라진 비문을 찾아서」, 학고재, 2005
· 이진희,「광개토왕비의 연구」, 일조각, 1982
· 왕젠췬(王健群), 『호태왕비연구(好太王碑硏究)』
· 연합뉴스, 2002.09.30
· 김석형,「삼한 삼국 일본열도내 분국에 대하여」, 역사과학, 1963
· 김석형,「초기조일관계사연구」,1996
· 김창호,「백제 칠지도 명문의 재검토-일본학계의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반론(3)」, 역사교육학회, 1990
· 조경철,「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병오정양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0
· 이영식,「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북한학계의 입장」, 동북아역사재단 , 2010
· 권주현,「가야인의 삶과 문화」, 혜안 , 2009
· 김일수,「경계를 넘나든 역사가들-역사가 김석형의 역사학」, p.29~70 2005
· 연민수,「고대일본의 가야관의 형성과 변용」, p.5~40 , 2004
· 강만길,「우리 역사를 의심한다」,서해문집 , 2002
· 부산.경남 역사연구소「시민을 위한 가야사」서울 집문당 1996 p116~
· 김인배, 「일본서기 고대어는 한국어」 , 빛남 , 1991
· 천관우, 「문학과 지성」 , 문학과지성사 , 1970
· 나행주, 「6세기 한일관계의 연구사적 검토」 , 경인문화사 , 2005
· 일지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 , 2002
· 이덕일,「고구려 700년의 수수께끼」, 2000, 대산출판사
· 김현구 「신공기 가라칠국평정기사에 관한 고찰」 , 백제문화개발연구원 , 1990
· 김현구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창비, 2010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한길사, 1998
· 박현숙 「6세기 백제의 대 일본관계」 , 한국고대학회 , 2003
· 김태식 「고대 왕권의 성장과 한일관계」 , 경인문화사 , 2010
· 이재석 「6세기 야마토 정권의 대한정책」 , 경인문화사 , 2005
· 한국고대사연구회 고대사분과, 「고대로부터의 통신」,푸른역사, 2010
· 네이버 백과사전 <일본서기> , <외교교역설>, <광개토대왕비문>, <임나일본부>
· 임나일본부 망령에서 벗어난 전방후원분, 연합뉴스, 2008
· http://blog.naver.com/idontcare/40077771848(신공황후의 신라정벌담)
· http://terms.naver.com(기마민족설)
· http://blog.naver.com/see4in4/6000725235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0246725
· http://www.bluecabin.com.ne.kr(임나일본부설)
· http://user.kory21.net(백제군사령부설 한계점)
· http://blog.naver.com/saskian/40124154361(식민사관과 정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