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사에 대하여

*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1.11.07
최종 저작일
2010.02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고대사 레포트
발해사에대한 교과서서술과 기존 학계의 연구성과 비교예요

목차

Ⅰ. 서론

Ⅱ. 발해사 귀속문제
1. 대조영의 출신
2. 발해의 주민 구성
(1) 말갈 계승설
(2) 고구려 계승설
(3) 발해족 계승설
(4) 이원적 주민구성설
3. 고구려와의 문화적 관련성
4. 발해의 대외관계

Ⅲ. 발해사에 대한 국정 국사 교과서의 서술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발해사는 그동안 연구가 미진한 분야 중 하나였다. 중국이 동북공정을 실시하며 한국고대사에 대한 야욕을 드러내고 나서야 그에 대항하기 위해 그동안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던 발해사에 대한 연구가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다. 학계에서는 발해사를 중국사라고 주장하는 중국의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사의 체계 안에서 발해사를 인식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국정 국사 교과서에도 반영되어 학생들로 하여금 자연스레 발해사를 한국사 의 범주 안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발해사의 귀속문제를 놓고 벌어지는 주요 쟁점은 대조영의 출신과 주민구성, 고구려와의 문화적 관련성, 발해의 대외관계 등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쟁점들을 놓고 벌어지는 학계의 연구 성과를 검토, 정리할 것이다. 또 이러한 학계의 연구 성과가 국정 국사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 이러한 국정 국사 교과서의 서술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Ⅱ. 발해사 귀속문제

1. 대조영의 출신

발해의 건국자인 대조영에 대해서 남한과 북한 학계 대다수는 『구당서』의 사료를 따라 고구려인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중국학계에서는 『신당서』의 사료를 따라 말갈인이라는 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근거가 되는 『구당서』와 『신당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渤海靺鞨大祚榮者 本高麗別種也 … 『舊唐書』
渤海 本粟末靺鞨附高麗者 … 『新唐書』

『구당서』에서는 발해를 `발해말갈`로 규정하면서도 `고구려 별종`이라는 표현을 같이 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표현은 `고려별종`이라는 표현인데, 중국학자들은 『구당서』의 `고구려의 별종` 이란 표현을 말갈이 한때 고구려에 귀속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중국학계에서는 말갈인이라는 설을 주장하기 위해 『구당서』보다는 『신당서』의 기록에 초점을 두며, 『신당서』의 기록과 같이 대조영은 본래 고구려에 붙어있던 속말말갈인이라고 주장한다. 즉 중국 측에서는 양 당서의 기록은 발해국의 건국자는 본래 속말말갈족 사람인데 일찍 고구려에 예속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이는데 그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참고 자료

고구려연구재단 (2004),『중국의 발해사 연구 동향 분석』, 고구려 연구재단
고구려연구재단 (2005),『고구려와 발해의 계승관계』, 고구려 연구재단
서병국(2005), 『발해제국사』, 서해문집
강현주(2009), 「발해의 주민구성에 관한 연구사, 경성대학교
김은주(2003), 「남북한 국사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비교 분석」,성균관대학교
김봉석(2004), 「한국,북한,중국의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구려사와 발해사의 귀속문제」,서울대학교
권은주(2007), 「홍려정석각에 보이는 최흔의 직명 재검토:선로말갈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류성우(2001), 「발해문화의 고구려적 성격」, 부산대학교
배진우(2008), 「중학교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주의적 서술에 대한 문제점 분석」,대구대학교
임상선(2006), <발해사 왜곡하려는 중국>, <<중앙일보>>
http://dhamul.co.kr/buksori/news_view.php?type=2003111116270304&ho=2006042618385757&ind=1628
*세*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3페이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대조영이 동모산에서 건국하였던 발해는 처음에는 ... 나라의 이름이 진이었는데요 당나라로부터 대조영발해군왕으로 책봉을 ... 가 멸망하고 난 이후에 세워진 나라로는 발해부흥운동으로 인하여 등장한 나라인
  • 한글파일 발해 역사 탐구 3페이지
    경우도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동북동정을 전개하면서 발해역사와 고구려역사를 ... 발해 역사 탐구 ◆발해역사의 귀속문제 발해는 우리나라의 국가였지만 ... 재와 유적도 중국과 러시아의 소유로 되어있는 것이 많은 데요 발해역사의
  • 한글파일 발해는 우리 역사인가? - 아하 그렇구나 발해편 서평- 3페이지
    발해가 우리의 역사라는 근거를 대보라 한다면 고구려 유이민 대조영 ... ) - 발해 말갈 대조영은 본래 고구려 별종이다. 渤海本粟末靺鞨 附高麗者 ... 발해는 우리의 역사인가? - 아! 그렇구나 우리역사 발해 편(6권
  • 한글파일 대조영 출자 그리고 발해 역사 귀속’ 문제 및 견해 8페이지
    대조영 출자 그리고 발해 역사 귀속’ 문제 및 견해 개요 668년 ... 평가되고 있다. 발해고구려 출신 대조영(고왕 高王)이 국가를 세웠으나, 만주 ... 대조영이 말갈인이라면 발해를 말갈들의 국가라고 부를 수 있으며
  • 한글파일 노태도 3장 4,5절 6장 1,2,3,4절 요약 13페이지
    있을 것이다. 3) 발해 왕실의 출자 《구당서》은 대조영을 ‘고려 별종 ... 군사당·신라의 전쟁 713년 당이 최흔을 파견하여 대조영을 ‘발해군왕 홀한 ... 것이다. 이후 대조영은 ‘발해’를 정식 국호로 삼고, 당과 활발한
  • 한글파일 발해_귀속_문제 8페이지
    발해, 누구의 역사인가 - 대조영의 출자(出自)를 통해 본 발해 역사 ... 얻고자 하기 때문이다. 즉 대조영이 말갈인이라면 발해를 말갈들의 국가라고 ... 대조영고구려유민으로 발해의 건국자라고 배우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구려
  • 한글파일 대조영의 출자를 통해 본 발해귀속 문제 8페이지
    발해, 누구의 역사인가 - 대조영의 출자(出自)를 통해 본 발해 역사 ... . 즉 대조영이 말갈인이라면 발해를 말갈들의 국가라고 부를 수 있으며 ... (出自)와 발해귀속 문제 2.1. 대조영의 출자에 대하여 2.2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발해사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