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영 출자 그리고 발해 역사 귀속’ 문제 및 견해

*찬*
최초 등록일
2011.09.02
최종 저작일
2011.09
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대조영 출자 그리고 발해 역사 귀속’ 문제 및 견해

목차

개요
1. 대조영의 출자(出自)와 발해사 귀속 문제
(1) 대조영의 출자에 대하여
(2) 발해는 누구의 역사인가
2. 결론(생각 및 견해)

본문내용

668년 고구려가 망한 후, 고구려 유민들은 산산이 흩어지게 되었다. 신라로 귀화한 사람, 당으로 들어간 사람, 만주의 말갈족과 혼재하여 사는 사람 등 패망국의 한을 안고 살게 되었다. 당(唐)나라는 고구려 유민 2만 8000여 가호를 중국 땅으로 강제 이주시켰는데, 이때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大祚榮;뒤의 고왕)도 그의 아버지로 알려진 걸걸중상(乞乞仲象 또는 大仲象)과 함께 요서지방의 영주(營州;조양)로 옮겼다. 당시 영주는 당나라가 북동부의 이민족을 제어하기 위한 전진기지로 운영한 전략도시였다. 이곳에는 고구려 유민을 비롯하여 말갈인·거란인 등 다수 민족이 집결되어 있었다. 이들은 당나라의 세력이 약화되면 언제든지 반란을 일으킬 수 있는 상태였다.

그러던 중 696년에 거란족 출신 이진충(李盡忠)이 요서지방에서 측천무후(則天武后)가 통치하던 당나라에 반기를 들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 난은 1년여 만에 진압되기는 하였으나, 당나라는 이를 진압하기 위하여 돌궐의 힘을 비는 등 상당한 어려움에 처하였다. 이러한 혼란기를 틈타 고구려 출신인 대조영이 유민들을 규합하고 걸사비우(乞四比羽)가 이끄는 말갈 세력과 손을 잡아 당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당나라는 대조영 세력을 공격하였으나, 대조영은 공격해오는 이해고(李楷固)의 군대를 천문령(天門嶺) 싸움에서 격파하고 당나라의 세력권에서 벗어나 남만주 지역에 위치한 동모산[東牟山, 지금의 길림성 돈화성 부근에 있는 육정산(六頂山)]에 정착하여 성을 쌓았다. 그리고 새로운 나라를 개국하고, 국호를 발해, 연호를 천통(天統)이라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 사서(史書)에 진국(震國)이라 칭하던 것을 `발해군` 왕으로 봉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는 재평가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

자료후기(1)

*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대조영출자를 통해 본 발해귀속 문제 8페이지
    발해, 누구의 역사인가 - 대조영출자(出自)를 통해 본 발해 역사 ... (出自)와 발해귀속 문제 2.1. 대조영출자에 대하여 2.2 ... .)즉, 발해사가 어느 나라의 역사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대조영발해
  • 파일확장자 동북공정 (발해) 조사 16페이지
    공정의 연구현황과 분석 ; 발해(渤海)의 귀속문제(歸屬問題)에 대한 중국학계 ... 소, 2008 신선혜, “발해귀속문제에 대한 중국학계의 연구동향과 ... 적으로 발해사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21세기에 들어서는 ‘동북변강역사여현
  • 한글파일 노태도 3장 4,5절 6장 1,2,3,4절 요약 13페이지
    있을 것이다. 3) 발해 왕실의 출자 《구당서》은 대조영을 ‘고려 별종 ... 군사당·신라의 전쟁 713년 당이 최흔을 파견하여 대조영을 ‘발해군왕 홀한 ... 것이다. 이후 대조영은 ‘발해’를 정식 국호로 삼고, 당과 활발한
  • 한글파일 남북국시대와 발해사 연구 7페이지
    , 역사적으로 상당히 희귀한 일로써 발해정치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 남북국시대와 발해사 연구 목 차 Ⅰ. 서 론 Ⅱ. 발해에 관한 각국의 ... 발해사를 다룸에 있어서 현재 영토가 직접적으로 발해의 영역에 포함되는 중국
  • 한글파일 발해_귀속_문제 8페이지
    발해, 누구의 역사인가 - 대조영출자(出自)를 통해 본 발해 역사 ... . 들어가며 2. 대조영출자(出自)와 발해귀속 문제 2.1 ... . 대조영출자에 대하여 2.2. 발해는 누구의 역사인가 3. 나가며 1
  • 한글파일 한국사 과제 - 동북공정에 대한 내용 및 나의 생각 (중앙대 A+) 4페이지
    발해를 중국은 중국 역사귀속시키려고 하고 있다. 중국이 주장하는 바는 ... 객관적으로 노력하려는 노력이 성과를 맺고 있다. 발해 역사에 대한 재 ... , 발해, 고려에 대한 역사는 명백히 우리의 역사임을 강조하며 대응하고
  • 워드파일 동북공정 - 김수현과 전지현의 광천수 광고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7페이지
    . 대조영발해를 건국한 돈화 지역에 발해 광장을 조성하고 육정산 ... 발해사뿐만 아니라, 고조선과 부여 등의 고대 역사까지 중국사에 편입시키려고 ... ”이라고 진단했다. 역사적으로 우리의 역사를 중국 역사귀속시키려고 하고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대조영 출자 그리고 발해 역사 귀속’ 문제 및 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