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민화의 정의][민화의 종류][민화의 미의식][민화의 색채][민화의 다시점][민화의 관계변형]민화의 정의, 민화의 종류, 민화의 미의식, 민화의 색채, 민화의 다시점, 민화의 관계변형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9.23
- 최종 저작일
- 2011.09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민화의 정의, 민화의 종류, 민화의 미의식, 민화의 색채, 민화의 다시점, 민화의 관계변형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민화의 정의
Ⅲ. 민화의 종류
1. 무속. 도교적인 민화
2. 장식용 민화
Ⅳ. 민화의 미의식
Ⅴ. 민화의 색채
1. 화조화의 의미와 색채
2. 산수화의 의미와 색채
3. 사신도의 의미와 색채
4. 책거리 그림의 의미와 색채
5. 문자도의 색채와 의미
Ⅵ. 민화의 다시점
Ⅶ. 민화의 관계변형
1. 장르의 조합
2. 관계의 새로운 인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관계의 새로운 인식
일반회화속의 물상과 물상의 관계는 매우 유기적이고 합리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연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그야말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관계이다. 그러나 민화에서는 그 자연스러운 관계가 새롭고 인위적으로 재창조된다. 금강산도를 예로 들어 그 관계의 설정에 문제를 살펴보기로 한다.
금강산도하면 18세기에 활동한 鄭敾(1676-1759)을 금세 떠올린 것이다. 금강산도는 그에 의하여 전형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선의 금강산도는 부드러운 米點의 토산과 날카로운 수직준의 암산이 마치 太極圖처럼 음양의 원리에 의하여 상대 화합되어 있는 천하의 형상이다. 그리하여 정선의 금강산도는 다른 화가의 금강산도에 비하여 경물들이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민화에서는 금강산에 대하여 이와 전혀 다른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이 있다. 특히, 에밀레박물관소장 는 정선의 금강산도와 정반대의 인식이 나타난다. 이 그림에서는 금강산의 전경을 봉우리별로 나누어 균등하게 분리하였다. 정선과 같이 응집된 구조가 아니라 나열식의 구조인 것이다
참고 자료
▷ 김호연 저(1976), 한국의 민화, 서울 : 열화당
▷ 나정태(1995), 민화그리기, 대원사
▷ 윤열수 저(1996), 민화이야기, 서울 : 디자인하우스
▷ 윤열수(2009), 민화의 즐거움, 종이나라
▷ 조자용(1975), 이조민화개론, 이조의 민화, 한국색채문화사
▷ 조자용(1989), 한민화 서론, 조선시대 민화, 예경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