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인간의 본질로서의 영혼에 관한 성경적 고찰

이 연구를 통해서 1)성경에 나타난 육체와 영혼의 관계, 2)성경 전반에서 드러나는 영혼 사상, 3)성경의 교훈과 부합하는 인간의 구조적 본질에 대하여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몇 가지의 주제들이 연구 전체를 통해서 증명될 것이다. 첫째, 인간의 육체와 영혼의 구별을 철폐하는 것은 비성경적이다. 여기서 성경 단어의 원어적 의미들을 살펴보면서 영혼에 대한 성경적 의미가 토론 될 것이다. 둘째, 영혼 불멸 사상이 성경적인 교훈이다. 여기서 칼빈과 벌코프가 개혁신학의 대표성을 띠고 영혼 불멸성에 대한 주장을 하게 된다. 셋째, 성경이 가르치는 인간의 구조적 본성은 유기적 영-육 통일체이다. 여기서 영혼과 영이 성경 속에서 교호적이므로 물질적인 부분과 비물질적인 부분의 구별은 있으나 유기적 통일체로의 인간에 대한 토론이 진행될 것이다.
5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05.25 최종저작일 2009.10
56P 미리보기
인간의 본질로서의 영혼에 관한 성경적 고찰
  • 미리보기

    소개

    이 연구를 통해서 1)성경에 나타난 육체와 영혼의 관계, 2)성경 전반에서 드러나는 영혼 사상, 3)성경의 교훈과 부합하는 인간의 구조적 본질에 대하여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몇 가지의 주제들이 연구 전체를 통해서 증명될 것이다. 첫째, 인간의 육체와 영혼의 구별을 철폐하는 것은 비성경적이다. 여기서 성경 단어의 원어적 의미들을 살펴보면서 영혼에 대한 성경적 의미가 토론 될 것이다. 둘째, 영혼 불멸 사상이 성경적인 교훈이다. 여기서 칼빈과 벌코프가 개혁신학의 대표성을 띠고 영혼 불멸성에 대한 주장을 하게 된다. 셋째, 성경이 가르치는 인간의 구조적 본성은 유기적 영-육 통일체이다. 여기서 영혼과 영이 성경 속에서 교호적이므로 물질적인 부분과 비물질적인 부분의 구별은 있으나 유기적 통일체로의 인간에 대한 토론이 진행될 것이다.

    목차

    유선웅의 목회학석사(M. Div.)학위청구논문을 인준함.

    Ⅰ. 서론
    A. 문제 제기
    B. 연구 목적
    C. 연구 방법

    Ⅱ. 본론
    A. 여호와 증인에 의해 구별이 철폐된 육체와 영혼
    1. 여호와 증인의 영혼 이해
    a. 산 영혼이 된 사람
    b. 동물의 영혼
    c. 사람의 생명
    2. 육체와 영혼의 구별(區別) 철폐
    3. 육체, 곧 영혼의 멸절
    4. 영혼(네페시)과 영(루아흐)의 구분(區分)
    a. 영혼(네페시)
    b. 영(루아흐)

    B. 영혼과 육체의 구분을 철폐하는 여호와 증인을 비판함
    1. 영혼의 원어적 의미
    a. 구약의 의미
    1)vpn
    2)xWr
    b. 신약의 의미
    1)yuch,
    2)pneu/ma
    c. 평가
    2. 육체와 구별되는 영혼
    a. 인간의 기원
    b. 생기와 생령
    c. 인간과 동물의 차이
    d. 육체와 영혼과의 관계
    3. 영혼 불멸
    a. 학자들의 견해
    b. 성경적 이해
    4. 혼과 영의 관계
    a. 두 단어의 교호적 사용
    b. 평가

    C. 유기적 영-육 통일체로서 인간
    1. 실체적 이분설
    2. 히브리적 사유와 특징
    3. 하나님의 형상: 전인성(全人性)
    4. 성경적 관점
    5. 평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영혼의 원어적 의미

    a. 구약의 의미

    1) 네페쉬

    B.D.B는 ‘혼’, ‘생명’, ‘사람’, ‘산 존재’, ‘피’, ‘욕구’등 10가지 이상 다른 의미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 어원은 아카드어로 ‘숨쉬다’, ‘넓다’, ‘확장한’이란 뜻으로 보인다. 구약 성경에서 본 용어는 불멸의 영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의 본질이나 살아 있는 존재 혹은 욕망과 감정, 종종 의지의 주체로서의 존재로 표현되기도 한다.
    네페쉬는 그의 몸과 구분하여 좀 더 고상한 인간의 어떤 부분이 아니라, 인간 속에 있는 생명력이나 생명의 원리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하나님은 인간의 코에 생명의 호흡을 불어 넣어 인간은 산 “네페쉬”가 되었다(창2:7). 즉, 살아 있는 존재가 된 것이다. 이 단어는 생명의 원리에서 확대되어 느낌, 열정, 의지, 심지어 인간의 심성까지 포함하는 의미였다. 그리고 후에는 인간 자신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하게 된다. 가족들은 네페쉬의 숫자로 헤아려졌다(창12:5;46;27).

    참고자료

    · Bibla Hebraica Stuttgartensia.
    · Novum Testamentum Graece 27.
    · 고영민 편, 「성서원어 대사전」, 서울: 교문사, 1973.
    · 게르하르트 킷텔 외 150여명, 「신구약성서신학사전」, 번역위원회, 서울:요단출판사, 1987.
    · 델리취, 카일., 고영민 역, 「구약주석 창세기」, 서울: 기독교문사, 1987.
    · 민영진, 「성서대백과사전:제8권」,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1.
    · 박윤선, 「성경주석-창세기」, 서울: 영음사, 1976.
    · 웬함, 고든 J., 황수철 역, 「WBC주석-창세기(상)」, 인천: 임마누엘, 1992.
    · 위클리프, 「위클리프 성경사전」, 서울: 지평서원, 1986
    · Bruce, F.F.; Guthrie, D.; Millard, A. R, 편집,「새성경 사전」, 나용화, 김의원등 번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 Brown, Driver, 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CLARENBON Press: Oxford, 1978.
    · 국내서적
    · 김희보, 「구약신학논고」, 서울: 예수교 문서 선교회, 1980.
    · 박형룡, 「교의신학 인죄론」, 서울: 보수신학서적 간행회, 1968.
    · ------, 「교의신학 내세론」,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6.
    · 최홍석, 「인간론」,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2006.
    · 번역서적
    · 메이첸, 그레샴., 채겸희 옮김, 「현대인의 자기 발견을 위한 기독교 인간관」, 서울: 도서출판 나침반사, 1992.
    · 벌코프, 루이스., 권수경, 이상원 옮김, 「조직신학」,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5.
    · 아이히로트, 발터., 박문제 옮김, 「구약성서신학Ⅱ」,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4.
    · 에릭슨, 밀라드 J., 나용화, 박성민 공역,「인죄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3.
    · _______________, 이은수 역, 「종말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
    · 쿨만, 오스카., 전경연 역, 「영혼불멸과 죽은 자의 부활」, 서울: 복음주의 신학서, 1991.
    · 그루뎀, 웨인., 노진준 옮김,「조직신학 상」, 서울: 은성출판사, 2009.
    · 칼빈, 존., 「구약성경주석-창세기1」, 서울: 신교출판사, 1978.
    · ------, 「성경주석-고린도전서8」, 서울: 성서원, 2003.
    · 리더보스, 헤르만., 박영희 옮김, 「바울신학」,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9.
    · 바빙크, 헤르만., 「하나님의 큰일」, 김영규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 후크마, 안토니., 류호준 역, 「개혁주의 인간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0.
    · --------------- 류호준 역, 「개혁주의 종말론」,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2006.
    · Guthrie, Donald., 박영호, 나용화 옮김, 「신약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8.
    · Ladd, G. E., 「신약신학」, 신성조, 이한수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 Stevens, William W., 허건역,Doctrine of christian Religion, 서울: 크리스챤 신문사, 1979.
    · Wilhelm, Niesel., 이종성 역, 칼빈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 외국서적
    · Bavinck, H., translated, Hendriksen, The Doctrine of God, Banner of Truth Trust, 1951.
    · Calvin, J.,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 Vol., Translated Ford Lewis Battles and Edited by John T. Mcneill,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7.
    · Hodge, Charles., Systematic Teology, Grand Rapids : Eerdmans, 1975.
    · Eichrodt, W., Man in the Old testament, Illinois: Intervarsity Press, 1979.
    · Boettener, Loraine., Immortality,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 1956.
    · Stacey, W. D., The Pauline View of Man, London: St. Martins, 1956.
    · Torrance, T. F., Calvins Doctrine of Man, London: Lutter Worth press, 1952.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