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청각학

청각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1.03.26 최종저작일 2007.04
23P 미리보기
청각학
  • 미리보기

    소개

    청각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각학의 분류

    2. 음향 및 음성학
    1) 소음
    2) 반향
    3) 파동
    4) 악음과 복합음
    5) 감각적 요소
    6) 공명
    7) 포르만트 (Formant)

    3. 청각기관
    1) 외이
    2) 중이 (middle ear)
    3) 내이 (inner ear)

    4. 외이, 중이의 증폭기전
    1) 외이의 증폭기전
    2) 중이의 증폭기전

    5. 중이에서의 반사기전

    6. 청각신경로 (말초 및 중추)

    7. 전정기관

    8. 청각전도로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처음에 이 리포트 주제를 받았을 때는 솔직히 조금 당황스러웠다. 이제까지 리포트를 해오면서 이번처럼 주제를 상세하게 정해준 적은 처음이고, 책에 없는 내용으로 조사를 해야 했기 때문이다. 사실, 책에 있는 내용을 이해해기에는 생략되어 있는 부분도 있어서 공부하기에 약간의 어려움도 있었는데, 이번 리포트를 통해서 책에 없는 내용도 자세히 알게 되었고 청각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러면 이제 리포트를 작성하려 한다.
    Ⅱ 본론
    1. 청각학의 분류
    (1) 진단 청각학(Diagnositc audiology):
    청각기관의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 과정에 참여하고,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의학적 치료를 마친 후 보청기 선택 등 청각적 재활과정과 어지러움증 진단 등에 관여한다.
    (2) 재활 청각학(Rehabilitative audiology):
    보청기 선택을 포함하여 언어의 습득과 재활을 통해 의사소통을 원할히 하도록 도와준다.
    (3) 소아 청각학(Pediatric audiology):
    소아 난청의 진단과 재활을 다룬다.
    (4) 산업 청각학(Industrial audiology):
    산업현장에서 소음을 관리하고 근로자의 청각보존계획을 다룬다.
    (5) 교육 청각학(Educational audiology):
    청각장애우들에게 청각학적 도움을 포함한 교육적 측면의 지원을 준다.
    2. 음향 및 음성학
    1) 소음(Noise)
    (1) 소음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시끄러운 소리, 듣기 싫은 소리를 뜻하며 환경·진동규제법 제 2조에 의하면 소음이라 함은「기계·기수·시설 기타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인간은 각자의 현재 상태라든가 주위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소리든 소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는 개인의 주관적인 감각에 의한 것으로서 어떤 사람에게는 좋은 소리로 들리더라도 다른 사람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다란 소리, 불협화음, 높은 주파수의 음 등이 소음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소음으로 느끼느냐 하는 것은 개인의 심리 상태에 따라서 다르다. 소음의 발생 원인은 주로 자동차, 철도, 비행기와 같은 교통수단의 이동에서 나오는 소음이나 공장에서 나는 기계음 등이 있다.
    (2) 물리적인 소음의 성질
    소음도 소리의 일종이기 때문에, 공기의 진동을 통하여 전달되는 파동이 귀에 있는 고막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인간은 소음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파동은 공기 압력이 변화됨으로써 고막을 울린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가장 작은 압력은 0.00002N/m2이다. 인간이 느끼는 소리에 대한 감각은 이 수치를 기반으로 해서 로그 척도로 올라가기 때문에 음압 수준 역시 로그를 이용해서 표현한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음압 수준 단위가 바로 데시벨(dB)이다. 또한, 인간은 그 청각 구조의 특성상 주파수가 1,000Hz 정도인 음을 가장 큰 소리로 느끼고 100Hz 정도인 저음을 가장 작은 소리로 듣게 된다. 인간이 음을 듣는 데는 이러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인간이 불쾌함을 느끼는 소음을 측정할 때 단순히 dB 단위를 사용해서는 정확히 그 크기를 반영할 수 없다. 때문에 소음을 측정할 때는 인간이 주로 들을 수 있는 주파수 특성을 보완한 단위인 dB(A)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50dB(A) 정도를 전후로 해서 그 이상의 음이 발생하면 소음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낮과 밤의 차이,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같은 지역 차이에 의해 소음 기준은 달라지며 개인의 심리 상태에 따라서도 더욱 달라질 수 있다.
    ※ 소음의 단위

    참고자료

    · 1. 청각학의 분류
    · 청각학 3판 허승덕ㆍ유영상 동아대학교 출판사: P.11
    · 2. 음향 및 음성학
    · 1) 소음
    · http://100.naver.com/100.nhn?docid=94426
    · http://www.greentransport.org/network/noise.php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157937&v=43
    · http://100.naver.com/100.nhn?docid=47047
    · http://moolynaru.knu.ac.kr/environment/soum/02%20soumyounghyang/html/chamgo/chamgo-yonga.htm
    · http://www.sound571.com/bbs/zboard.php?id=2002112012285713&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
    · 2) 반향
    · http://100.naver.com/100.nhn?docid=70792
    · http://woori.re.kr/pds/hearing-aid_7.asp
    · 3) 파동
    · (1) 횡파
    · http://100.naver.com/100.nhn?docid=810142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211095&v=44
    · (2) 종파
    · http://100.naver.com/100.nhn?docid=814937
    · http://100.empas.com/dicsearch/pimage.html?i=186723001&en=186723
    · (3) 횡파와 종파의 차이
    · http://cafe.naver.com/cetech2003/9195
    · 4) 악음과 복합음
    · http://www.sound571.com/bbs/zboard.php?id=2002112012285713&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
    · 5) 감각적요소
    · http://www.sound571.com/bbs/zboard.php?id=2002112012285713&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
    · 6) 공명
    · http://educategory.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6090&contentno=16090
    · 7) 포르만트
    · http://educategory.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182056&contentno=182056
    · 3. 청각기관
    · 1) 외이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d=&k=&inqr=&indme=&p=1&q=외이&masterno=117785&contentno=117785
    · http://www.bosa.co.kr/admin_board/view.asp?board_pk=13193&what_board=40&page=3
    · http://web.edunet4u.net/~ourbody/6-e-2.htm
    ·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174425&v=43
    · http://cafe.naver.com/ddosaebida/56147
    · 2) 중이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d=&k=&inqr=&indme=&p=1&q=중이&masterno=141835&contentno=141835
    · 3) 내이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d=&k=&inqr=&indme=&p=1&q=내이&masterno=36873&contentno=36873
    · 4. 외이, 중이의 중폭기전
    · 1) 외이
    · http://www.resound.co.kr/nan/sound.php
    · http://www.ent119.com/ear%20anatomy.htm#외이도
    · 2) 중이
    · http://index.scienceall.com:8080/qna/cservice/question_detail.php?queId=60300&flag=1
    · http://oshri.kosha.or.kr/cwboard_download.do?articleId=23999&file=531_1172626639313_0.pdf
    · 5. 중이의 반사기전
    · http://www.sorisaem.net/bbs/webzine_files/2003%B3%E29%BF%F9%C5%EB%B1%C7%C1%A64%C8%A3.pdf
    · http://cafe213.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2GyA&fldid=As5T&contentval=0000Dzzzzzzzzzzzzzzzzzzzzzzzzz&nenc=Kb4B3i3_FHyKQ6cByGa9xQ00&dataid=13&fenc=c9uhYEAk6WM0&docid=CDd3rkL3
    · 6. 청각신경로
    · http://www.aistudy.com/physiology/nerve_denes.htm#_bookmark_164fa30
    · 7. 전정기관
    · 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d=&k=&inqr=&indme=&p=1&q=전정기관&masterno=135042&contentno=135042
    · http://cuh.co.kr/2005/mainBoard/List_Detail.asp?BT=00&CID=1002&No=1854&CNo=1&GNo=1&RNo=1853
    · http://www.aistudy.com/physiology/sens_ham.htm#_bookmark_2974fb0
    · 8. 청각전도로
    · http://www.aistudy.com/physiology/hearing.htm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