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학자 정인승
- 최초 등록일
- 2011.02.16
- 최종 저작일
- 1997.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여러 자료를 참고로 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목차
1. 들머리
2. 건재의 생애
3. 건재의 국어 연구
4. 건재의 국어 교육
5. 마무리
6. 건재 정인승 선생 해적이
본문내용
1. 들머리
2005년 4월 21일 ‘조선어학회’사건 정인승 선생의 손녀의 딸 이미한 양이 일제에 맞서 우리말을 지킨 할아버지 이야기를 발표해 화제가 되었다. 한인 여고생이 전미 에세이 대회에서 1위를 했기 때문이다. 이미한이미한 양은 미국에서 태어난 한국인이라는 뜻으로 ‘미한’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양 낭송 에세이 전문 (『건재 정인승』,2009,어문각)을 싣도록 하겠다.
‘자유’에 대한 나의 이해는 곧 ‘언어’에 대한 이해로 강하게 연결된다. 나의 증조부께서는 1940년대, 일본 정부에 의해 한글 사용이 금지되던 시절의 한국에서 최초의 한글 사전을 편찬하다 체포되셨다. 증조부께서는 만약 언어가 억압 받는다면 사람들의 이념을 형성하고 나누는 매개체인 언어로 인해 이념도 좌우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으셨다. 그는 자신의 동포들이 모국어로 이념을 표현할 수 있는 자유를 위해 싸웠으며 그럼으로써 한국인들이 이념을 가질 고유한 권리를 지키셨다.
성인으로서 자유와 책임을 준비하면서 나는 내가 물려받은 자유의 정의들을 기억하고 거기에, 우리 가족 가운데 새 나라에서 태어난 첫 세대로만이 아니라 새로운 세기의 미국청소년으로서 내 자신의 정의를 더하려고 노력한다. 쉬는 시간 나는 친구들과 학교 복도에서 학교 당국의 실수와 동성 결혼의 권리, 이라크 전쟁의 정당성에 대해 토론한다. 우리는 우리를 둘러싼 환경들을 인식하고 평가하고 이야기하며 그에 대한 고유한 의견을 가질 권리가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
.
참고 자료
리의도(1997), 건재 정인승 선생의 애국 운동, 「외솔회」, 나라사랑, 제95집, 106~124쪽
한글학회(2009), 건재 정인승, 어문각.
허재영(2010), 건재 정인승(1897~1986) 선생님의 생애와 업적, 「한말연구」, 제26호. 한말연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