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면서
인생의 아침에 비유되는 청소년 시절, 청소년들이 깨어 있고 살아 있는 나라는 희망이 있고 미래가 있다. 청소년들은 우리 민족의 소망이요, 비전이다.
우리는 지금 격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어느 민족이나 국가, 어느 사회나 인간의 어느 영역까지도 흔들리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정신 구조, 전통도 권위도 모두 흔들리고 있다. 윤리도, 종교도 존재의 위협을 받고 있다. 새로운 시대는 지금까지의 시대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세계관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매스미디어의 급속한 발달로 전 세계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문화 뿐 아니라 종교 역시 다원주의라는 엄청난 도전 앞에 있다. 박원호, 『신앙의 발달과 기독교 교육』 (서울: 성지출판사, 1999), p. 279.
하나님은 이 땅의 청소년들을 어떻게 볼까? 그들을 향한 하나님의 뜻은 무엇인가? 사춘기 이후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새로운 시각이 제공되면서, 청소년기에 있어서 적응 문제가 한 사회의 건강 뿐 아니라 건강한 교회로 발전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 청소년들은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에스겔 골짜기의 해골 떼에 생기가 들어가서 성령의 군대를 이룬 것처럼, 이 시간 청소년기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뿐 만 아니라 청소년 개개인의 특성과 독특한 상황을 이해해서 에스겔 37장의 기적이 우리 청소년들에게서도 일어나게 해야 하겠다.
Ⅱ. 청소년의 개념
인생의 발달 단계 중 한 단계로서의 청소년의 개념은 미국의 심리학자 홀(G. S. Hall)이 1904년에 『청소년기』란 책을 내면서 학문적으로 처음 사용되었고, 사회적으로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전쟁에서 돌아 온 젊은이들이 `새 세대(New generation)로 출현해 대중의 관심을 끌게 된 때부터이다. 조영승, 『청소년학 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2001), p. 9.
청소년의 개념을 정의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고, 학자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정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는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청소년의 우리말은 `청년` 과 `소년`의 합성어이다. 함종환, 『청소년학 원론』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p. 27.
· ▶ 국내서
· 1. 박원호. 『신앙의 발달과 기독교 교육』, 서울: 성지출판사, 1999.
· 2. 조영승. 『청소년학 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3. 함종환. 『청소년학 원론』,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 4. 고용수. "청소년 이해와 교육적 과제" , 서울: 장신논단, 제3집, 1987.
· 5. 조복희 · 정옥분 · 유가효. 『인간발달- 발달심리적접근』, 서울: 교문사, 1996.
· 6. 이은규 · 이정관. 『가정과 교회의 맥락에서 본 청소년교육』, 서울: 삼보아트, 2002.
· 7. 이진우. 『청소년 교육 핸드북』, 서울: 한국문서선교회, 1994.
· 8. 최대석. 『자아정체감 형성기로서의 청소년기』, 서울: 기독교교육, 1990.
· 9. 맹용길. 『한국교회와 교육』, 서울: 대한예수교 총회교육국, 1982.
· 10. 강주태. 『청년심리학』 , 서울: 형성출판사, 1984.
· 11. 문교부. 전국 학생체격 통계표, 청소년 백서, 1983.
· 12. 김태련. "청소년기의 발달과 발달과업", 『청소년심리학』, 한국청소년 연구원, 1992.
· 13. 민영순. 『발달 심리학』, 서울: 교육 출판사, 1982.
· 14. 장병림. 『청년 심리학』, 서울: 범문사, 1980.
· 16. 표갑수. "청소년 가치관 형성을 위한 방안", 청소년지도육성회, 1986, 여름호,
· 17. 나동진. 『교육심리학- 인지적 접근 -』, 서울: 학지사, 2000.
· 18. 이춘재. 『청년심리학』, 서울: 중앙 적성 출판사, 1996.
· 19. 송명자.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2.
· 20. 허혜경, 김혜수. 『청년 발달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3.
· 21. 남승희. 『청소년은 누구인가』, 서울: 서원, 1993.
· 22. 이재창. "한국 청소년을 위한 정책 과제의 방향", 청소년 연구, 제5집, 1982.
· 23. 사미자. "인생주기 이론에 비추어 본 청소년기" , 서울: 기독교사상, 1988,5.
· 24. 김재은. "현대 청소년의 생태적 환경과 심리 · 사회적 특성",
· 청소년 범죄 연구 제1집, 법무부, 1983.
· 25. 박원호. "청소년 신앙과 교회 교육", 『제2회 청소년 지도자를 위한 심포지움』,
·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88.
· 26. 손승희. "기독교 교육의 발달이론적 기초", 『기독교 교육론』,
·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5.
· 27. 정인식. 『청년 심리학』, 서울: 재동출판사, 1966.
· 28. 최정성. 『청소년 교육핸드북』, 서울: 엘맨 출판사, 1994.
· 29. 주선애. 『유아의 종교교육』, 교회와 신학, 제11집, 1979,
· ▶ 번역서
· 1. D. E. Papalia, 정옥분. 『인간발달Ⅱ』, 서울: 교육과학사, 1994.
· 2. 패트 베이커, 김병희. 『청소년문제와 해결』,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 3. William C. Crain, 서봉연 역. 『발달의 이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