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사료
· 『廣開土王陵碑』『三國遺事』『三國史記』『三國志』魏書 東夷傳『蔚珍鳳坪新羅碑』
· 2. 단행본
· 김용섭,『한국중세농업사연구』, 지식산업사, 2000.
· 김창호,『고신라 금석문연구』, 서경문화사, 2007.
· 노태돈,『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 민현구,『한국사학의 성과와 전망』,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6.
· 서의식 ․ 강봉룡,『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1권 ․ 2권, 솔, 2002.
· 이현혜,『한국 고대의 생산과 교역』, 일조각, 1998.
· 한국경제사학회,『한국사시대구분론』, 을유문화사, 1995.
· 3. 연구논문
· 강종훈,「한국사의 획기로서의 4-6세기」,『한국고대사연구』47, 2007.
· 김광수,「고대국가형성론」, 『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2003.
· 김기흥,「한국사의 고 ․ 중세 시대구분」,『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1997.
· 남동신 하일식 이인재 이병희, 토론요지문「신라통일기의 사회성격」, 『역사와 현실』14, 1994.
· 박종기,「한국사의 중세기점과 중세사회론 -군현제의 성립과 변동을 중심으로-」,『경제사학』21, 1996.
· 박종익,「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와 목간」,『한국고대사연구』19, 2000.
· 서의식,「신라 중위제의 추이와 지배신분층의 변화」,『역사와 현실』50, 2003
· ,「‘진한6촌의 성격과 위치」,『신라문화』21, 2003.
· 이경식,「한국사연구와 시대구분론」,『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2003.
· 이태진,「사회사적으로 본 한국중세의 시작」,『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1997.
· 전덕재,「삼국 및 통일신라의 지배구조와 수취제의 성격」,『역사와 현실』50, 2003.
· 조동원,「한국사 시대구분논의에 대한 검토」,『인문과학』29, 1999
· 조법종,「광개토왕릉비문에 나타난 수묘제연구」,『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1997.
· 채상식,「불교사상론」,『한국사 인식과 역사이론』, 지식산업사, 2003.
· 최광식,「남북한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비교 연구 -고대와 중세의 기점을 중심으로-」,『史叢』51, 2000.
· ,「한국 고대국가의 지배이데올로기」,『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1997.
· 하일식 外, 토론요지문「한국 고대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역사와 현실』50, 2003.
· 허흥식,「불교사상사에서 본 고대의 기점과 종점」,『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