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과환경교양수업에 제출했던 레포트.시험만큼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던 레포트이구요, 서론-본론-결론-소감-참고문헌으로(10p) 구성되어진 연구레포트입니다.
4권이상의 단행본과 3편이상의 논문, 그밖에 신문기사, 새만금 관련 홈페이지 등과 같은 인터넷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참고로 A+받은 과목입니다.
목차
1. 서론2. 본론
2.1 새만금 간척사업 바로알기
2.1.1 새만금사업의 배경 및 내용
2.1.2 새만금사업의 필요성 및 효과
2.1.3 사업추진현황
2.2 끝나지 않는 환경논쟁
2.2.1 사업의 경제성 (농경지 VS 갯벌)
2.2.2 공평하지 않은 언론
2.2.3 농업용지 vs 산업용지
3. 결론
4. 소감
참고문헌
부록(첨부)
본문내용
1. 서 론인간과 환경이란 강의를 들으면서 갯벌의 순기능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알게 되었다. 갯 벌은 바다와 육지의 중간에서 Filter역할을 하며 오염을 완화시켜주고 바다 생명체와 철 새들의 서식처가 되며 자연재해를 저감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갯벌은 많은 순기능을 가진 쓸모 있는 공간인데도 불구하고 그런 순기능을 무시할 만큼 갯벌을 막아서 토지로 활용하려는 간척 사업은 어떤 의미가 있을지에 대해 흥미를 가지기 시작했다. 특 히, 건강한 습지, 건강한 인간(Healthy Wetlands, Healthy People)을 주제로 2008년 10 월 28일부터 11월 4일 까지 경상남도 창원에서 개최된 람사르 총회 덕분에 습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더 높아졌다. (람사르 협약은 자연자원과 서식지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최초 의 국제협약으로 생태ㆍ사회ㆍ경제ㆍ문화적으로 커다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습지를 보전 하고 현명한 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자연 생태계로서의 습지를 범국가적 수준에서 체계 적으로 보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정식명칭은 ‘물새 서식지로서 특히 국제 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이다.)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이라는 람사르 협약 의 정신을 제10차 당사국 총회 주최국인 한국은 얼마나 잘 지켰는지에 대해 한국 엔지오들이 “정부의 협약과 총회 결의안 이행이 매우 실망스럽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기사를 읽었다. 실망스러운 내용에 새만금과 관련된 내용이 있었는데, 도대체 새만금 사업이 어떤 상황 이길래 지금까지 계속 이슈화 되는지 궁금했다. 그리고 한반도의 지세를 백두산 호랑이에 비유하곤 하는데, 그렇게 보면 백두산은 호랑이의 코에 해당하고 호미곶은 호랑이의 꼬리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 호랑이의 모습에서 아랫배 부분, 숫호랑이라면 낭심이고 암호랑이라면 자궁에 해당하는 부분이 새만금이라는데, 여기에서 주제를 얻어 새만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조사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1. 단행본박근형, 아름다운살인, 새만금의 진실은 무엇인가, 도서출판 그물코, 2003, pp.113~132
박영숙, 이수장, 인간 그리고 환경, 경인문화사, 2005, pp.50~51, pp.68.
허철희, 새만금 갯벌에 기댄 삶, 도서출판 창조문화, 2003, pp.12~43.
홍욱희, 3조원의 환경논쟁, 새만금, 지성사, 2004, pp.82~213.
2. 논문
이해경, “새만금 간척사업 쟁점분석을 통한 환경현안의 조정체계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대 교육대학원, 2006
조중석, “새만금 간척지 친환경 조성 방안”, 석사학위논문, 목포대 경영행정대학원, 2003
3. 인터넷
한국 농촌 공사 새만금 사업단 홈페이지, http://www.isaemangeum.co.kr/
희망의 갯벌 새만금, http://sos.kfem.or.kr/
새만금 사업을 반대하는 사람들 농/발/게, http://www.nongbalge.or.kr/
4. 뉴스기사
연합뉴스, ‘새만금, 농업 30% 산업.관광 39% 확정’, 2008-10-21.
한겨레, ‘람사르 총회 주최국의 부끄러운 성적표’, 2008-11-21.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환경]새만금 사업에 대한 나의 견해 3페이지
[환경과개발] 새만금간척사업에 관한 논고 13페이지
[환경경제학] 우포늪에 관하여 6페이지
[인간과 환경] 새만금 5페이지
[환경]새만금간척사업에 대하여 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