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모성경험에 대한 기능적 해석
Ⅲ. 모성경험에 대한 갈등적 해석
Ⅳ. 다중 정체성에 근거한 통합적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이 연구의 관심사는 서로 다른 삶의 맥락 속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이 어머니로서 경험하는 것들은 무엇이며, 여성들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심은 한편으로는 연구자 자신의 모성경험에서 연유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의 모성연구가 모성경험에 대해 묻고 답하는 방식이 제한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연유한 것이다
참고 자료
김은실(1996), 출산문화와 여성, 『한국여성학』제12권 2호, 119-147
김지혜(1995), 모성이데올로기의 수용과 거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논문.
노영주(1996), 여성의 경험으로서의 어머니됨, 『한국가족관계학회지』창간호, 35-55.
변혜정(1992), 임신에서 초기양육까지의 어머니일수행 경험으로 인한 '어머니'로 의 적응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신경아(1997), 한국 여성의 모성갈등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윤택림(1996), 모성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제12권 2호, 79-117.
이기영(1987), 가사노동의 상품대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용환(1995), 일상세계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 『대구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제7집, 13-22.
(1998),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교육인류학회 199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조정아(1993), 대졸 사무직 여성의 노동과 좌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Boulton, M.G.(1983), On Being a Mother, New York: Tavistock Publication.
Giddens A.(1992), Transformation of Intimacy. 배은경 황정미 옮김(1995), 『현 대 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 새물결.
Levinson, D. J.(1996), The Seasons of A Women's Life, New York: Alfed A. Knopf Inc.
McMahon, M.(1995), Engendering Motherhood, New York: Guilford Press.
Spradley, J.P.(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Rinehart & Winston, 이희봉 옮김(1996),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Wearing, B.(1984). The Ideology of Motherhood, Sydney: George Allen & Unwin.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