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2. 원인
3. 병의 유행
4. 병태생리
5. 발병기전
6. 증상
7. 검사소견
8. 합병증
9. 치료
10. 결과 및 예후
11. 예방과 관리
12. 간호
* 급성사구체 신염의 식사요법
본문내용
급성 사구체 신염(Acute Glomerulonephritis)
사구체신염은 신장의 여과 부위인 사구체에 염증반응이 생겨 발생하는 신질환을 총칭하는
말로 줄여서 신장염 혹은 신염이라 불리기도 한다. 사구체가 손상을 받게되면 혈액으로부터
생성되는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할수 없게된다.
급성 사구체 신염은 원발성과 속발성이 있으며 속발성인 경우는 폐렴 구균성, 연쇄상 구균
성, 바이러스성 감염과 관련된 경미하거나 중한 전신장애를 일으킨다. 연쇄상구균 감염 뒤
에 나타나는 급성 사구체신염은 아동기의 비감염성 신장 질환 중 가장 흔하다. 연쇄상구균
성 사구체신염은 어느 연령에서도 발병할 수 있으나 발생 빈도는 6세에서 7세에 가장 높으
며 주로 학령기 초기에 발병된다.
2세 이하의 아동에게는 드물고 남아에서 2배정도 발현 빈도가 높다.
◈ 원인
1. 연쇄상구균 감염 -가장 흔한 원인, 독소가 간접적으로 질병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2. 전신성홍반성낭창, 류마치스 관절염, 심내막염, 폐렴과 같은 질환으로 온다.
3. 기타 감염- 폐구균, 수막구균 등의 감염이나 홍역, 수두등의 바이러스, 이하선염 등에
의해 발생한다.
전형적인 급성사구체신염은 비염, 인두염, 후두염, 편도염과 같은 상기도 감염에 걸려서
10~14일(평균10일)이 지났을 때에 임상증상이 나타나며, A β-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급성 사구체신염이 생긴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호발 연령은
학동 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서 많이 발병(5-15세)하며 봄이나 겨울에 더 흔하나 농
피증(농가진)과 관련되었을 때는 늦여름 혹은 초가을, 특히 따뜻한 날씨에 더 많이 유행할
수 있다.
◈ 병의 유행
A군 β용혈성연쇄상구균의 감염이 원인인 상기도감염에서 일어나는 일이 많으므로 감기가
유행한 때에 지역적으로 유행할 수 있다.(유행성신염) 또한 동거하는 가족 중에 감염자가
있으면 가족 전원이 걸릴 수도 있다.
◈ 병태생리
연쇄상구균 감염후에 생기는 병리현상은 사구체에 부종이 발생하며 다핵 백혈구를 침윤시켜
모세관을 폐쇄시킨다. 혈장 여과성 감소로 과잉 수분축척과 염분정체가 발생되며, 혈장과
세포 간질액의 양이 증가되어 부종이 생기고 혈액순환이 정체된다. 이러한 증상은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때문인지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 때문인지 혈관경직 때문인지는 불분명하다.
...
참고자료
· 1. 소아과 진료: 홍창의, 도서출판 고려의학, 1993, 서울
· 2. 아동간호학 각론: 김미예 외. 수문사. 1999. 서울
· 3. 소아과학: 홍창의, 대한 교과서, 1994, 서울
· 4. 아동간호학 Ι : 김미예 외. 수문사, 1994. 서울
· 5.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Ⅱ: 조결자 외, 현문사, 1997, 서울
· 6. http://kda.new21.org/iyagi/ur_1.htm
· 7. http://www.angelpharm.co.kr/disease/sub_desease/glomerulonephritis.htm
· 8. http://user.chollian.net/~satboy/dbs/glomer.html
· 9. http://www.nasara.co.kr/kidney1.ht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