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조직] 조직규모와 조직구조
- 최초 등록일
- 2001.11.28
- 최종 저작일
- 2001.11
- 2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조직규모개념
-조직규모와 복잡성
-조직규모와 공식화
-조직규모와 집권화
본문내용
조직규모의 개념
조직의 규모는 조직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상황변수들 중의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조직의 규모는 조직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조직의 규모를 파악함에 있어서 무엇을 기준으로 삼느냐가 조직의 규모를 정의함에 있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조직규모의 판단기준으로 거론되는 것에는 조직구성원의 총수, 매출액, 총투하 자본금, 조직의 소유자산 총액, 병원의 환자용 침대의 총수, 대학교의 강의실 총수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조직규모를 변수로 삼은 연구들 가운데 80% 이상이 조직규모를 조직구성원의 총수로 정의하고 있다(Kimberly, 1976). 일반적으로 조직구성원의 총수가 조직규모의 지표로서 쓰인다고 해서 반드시 그것이 타당한 지표인 것은 아니고, 연구의 목적과 그 밖의 상황에 따라 조직규모 측정을 위한 지표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종업원 총수를 기준으로 하는 측정치는 다른 많은 측정치에 비해 가장 훌륭한 측정치로 제시되고 있다.
조직규모와 조직구조의 관계
Blau나 Schoenherr는 “조직규모가 조직구조에 영향을 미친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반면 Hall과 그의 동료들은 “복잡성이나 공식화 어느것도 조직의 규모에서 추론해 낼 수 없다”로 반박한다.
참고 자료
http://www.kwandong.ac.kr/~choich/4부5장.htm
경영조직론,저자 스티븐 P로빈즈(1985,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