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론] 독일의 보육론
- 최초 등록일
- 2001.11.27
- 최종 저작일
- 2001.1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역사적 배경
2. 보육이념
3. 보육체제
(1) 보육현황
(2) 보육 유형
4. 보육 프로그램
(1) 보육 목표
(2) 동독의 유치원 교육내용
(3) 서독의 유치원 교육내용
(4) 독일 가정과 사회교육
5. 발도르프 유치원
6. 통일이후의 문제들
7. 교사양성
8. 맺은말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역사적 배경
독일의 교육은 역사적으로 "교회와 주정부"라는 두 가지 기반을 토대로 발전되어 왔다. 교회가 교육에 관여하기 시작한 것은 중세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점차 교회의 역할은 쇠퇴하였고, 교회가 맡아왔던 역할을 여러 정치 세력이 담당하기 시작하였다.
독일에서 유아 교육의 필요성을 공적으로 처음 주창한 사람은 마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을 꼽고 있다.
그는 유아를 위한 학교를 제공하여야 하고, 부모는 이 학교에 자녀를 보낼 의무를 갖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1524년 독일의 모든 도시의 시장과 의회에 보내는 논설을 썼다. 그것은 아래와 같다.
" 한 시의 복재는 재력, 튼튼한 성벽, 아름다운 집, 전쟁 군수 용품만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곳에는 무모한 사람들이 권좌에 앉으려 하고 ,시는 큰 손상을 입게 된다. 그러나 가장번영 된 시, 가장 안전하고 국방력이 튼튼한 시는 유능하고 현명한 그리고 교양 있는 시민으로 구성되어 진다" 하면서 이러한 시민을 육성하기 위하여 유아기부터 공 교육화가 이루어 져야 함을 역설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