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 외교] 테러전쟁으로 인한 국제 경제와 한국경제
- 최초 등록일
- 2001.11.26
- 최종 저작일
- 2001.11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a학점 레포트임당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세계경제의침체
2.한국의 파장
Ⅲ. 결론
본문내용
미국은 1991년 이후 걸프전을 거치면서 사상 최대의 호황기를 누려 왔었다. 90년대 초 미국은 컴퓨터 산업에 있어서 독보적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미국의 IBM사는 컴퓨터 계열 세계최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생산력 또한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었다. 또한 MS사의 소프트는 돗단배에 모터를 단듯한 결과를 파생시켰다. 이렇게 컴퓨터 분야로부터 경제 호황의 발판을 다진 미국은 IT분야의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경제 성장에 있어서 막대한 효과를 얻을수 있었다. 거기에 단일의 적이라 여겨지던 공산권의 붕괴는 미국의 힘이 세계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떠오르는데 일조를 하기도 하였다. 미국은 1992년 걸프전을 거치면서 중동산유국들까지 그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고, 이 후부터는 더욱더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그 끝을 보일 것 같지 않던 미국의 경제 발전) 미국의 호황도 1999년을 계기로 침체의 수렁으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나친 금리상승과 소비심리의 둔화가 경기 침체의 원인이 되어서였다. 막대한 내수시장을 지니고 있던 미국일지라도 과열 경쟁을 막기 위한 연방금리정책의 실패로 인하여 기업경영이 어려워 졌고 그로 인한 구조조정 등의 기업자구책이 실업을 증가하는 현상을 초래하였고 결국 소득이 줄어들어 소비 또한 감소를 가져오게 되었다. 결국 정부의 실패와 IT산업의 수익률하락 등의 문제는 미국경기를 침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참고 자료
*최용호"한국경제"21세기 복스
*백훈 "글로벌 경제" 연암프레스
*박재영 "국제기구 정치론"
*KIEP(대외 경제정책 연구원 : Korea Institu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홈페이지"EURO화 도입을 대비한 기업의 CHECK POINT"
*LG경제연구원 www.lgeri.com
*한국은행 홈페이지
- 국제국
- 조사 제 1부 해외조사실===>"유럽 중앙은행의 창설과 EMU출범에 따른 대응과제"
*'손화락의 유럽이야기' 홈페이지==>http://member.tripiod.del~son`_euro/
*재경경제부 홈페이지==>http://www.kjmbc.co.kr/colum/99/311.htm "유로화출범 및 우리의 대응방안"
*매일경제신문 홈페이지
1. 사설 EIU 한국경제진단
한국의 위기와 도덕적 해이론
2."매경-부즈앨런 & 해밀턴 한국보고서"
3.맥킨스"한국재창조 보고서"
4.이코노믹 리뷰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