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 강정구, 현대학습심리학, 문음사, 1996
· 김아영 외 공저, 교육심리학, 학문사, 1998
· 김수정 외 공저, 삐아제 이론과 유아교육, 창조사, 1995
· 김정률 외 공저, 아동발달과 학습, 교육출판사, 1994
· 박덕규, 삐아제의 발생학적 인식론과 구조론. 민성사, 1992
· 박재규, 삐아제 이론과 유아교육, 창조사, 1992
· 변영계, 교수학습이론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99
· 서봉연, 발달의 이론,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1983
· 송명자, 아동발달 연구, 학지사, 1997
· 안영진, 유아발달심리학, 문음사, 1995
· 안인희 편, 현대교육고전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4
· 이기숙 역, 어린이를 위한 삐아제 이해, 서울: 창지사, 1984
· 이옥형 공저
· 이영 외 공역, 아동의 세계, 양서원, 1991
· 유호순 (1992), 아동발달, 서울: 창지사
· 정옥분 외 공역, 청년발달의 이론, 양서원, 1999
· 조경원 외 공저, 교육학의 이해, 이대 출판부, 1990
· 조희숙 외 공저, 아동발달심리, 학지사, 1994
· 최윤미 외 공저 , 현대 청년 심리학, 서울: 학문사, 1998
· 한국심리학회, 삐아제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2
· 홍대식, 심리학 개론, 서울: 양영각
· 마거릿 보든, 삐아제, 서창렬 역, 시공사, 1999
· B. J. 워즈워드, "삐아제"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 성옥련 외 공역, 중앙적성출판사, 1995
· 제임스 F 브레난, 심리학의 역사와 체계, 홍대식 역, 박영사, 1988.
· D.C. 필립, J.f. 솔티스 공저, 학습에 관한 이해, 이인경 외 역 문음사, 2000.
· G.F.넬러, 현대교육사상, 안인희 역, 서광사, 1987
· M.A.S. 플라스키, 어린이를 위한 피아제 이해, 이기숙 외 역, 창지사, 1984.
· Mery Sime, 피아제가 보여주는 아이들의 인지세계, 문용린 역, 학지사 , 1996
· R.S. 시에글러, 아동사고의 발달, 박영신 역, 미리내,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