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와 문화-전통 혼례의례
- 최초 등록일
- 2001.05.14
- 최종 저작일
- 2001.05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들어가기
Ⅱ.전통혼례
1. 혼례란 무엇인가?
2. 혼례의 절차
가. 의혼(議婚)
나. 납채(納采=四星)
다. 연길(涓吉)
라. 납폐(納幣)
마. 친영(親迎)
바. 신행(新行)
사. 폐백(幣帛)
3. 혼례시 복장
가. 신부복
나. 신랑복
4. 전통혼례 음식
5. 혼례의 의미
Ⅲ. 결론
본문내용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한 평생을 살면서 많은 일들이 생긴다. 하지만 한 인간이 일생을 사는 동안 가장 중요하고 행복한 순간은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을 하는 순간일 것이다. 결혼을 통해서 완전하지 못한 사람이 비로소 어른이 되고 완전해지게 된다. 이처럼 혼인이 우리 인간의 일생에서 끼치는 영향은 엄청나다.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혼인이 현대에 와서는 그 본질이 많이 왜곡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우리는 요즘 텔레비젼이나 신문을 통해서 혼수를 잘 해오지 못한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남편에게 구타를 당했다느니 이혼을 당했다느니 하는 말들을 심심치않게 듣게된다. 그리고 이처럼 극단적인 문제가 아니더라도 과도한 혼수비용이 사랑하는 사람들의 결혼을 망설이게 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한 예식장에서 30분만에 끝나버리는 초고속 혼인 또한 혼인이 가지는 본질적 의미인 신성성을 떨어뜨리고 형식적으로 만들고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우리는 지금 가장 신성하고 아름다워 야할 혼인의 본질을 망각하고 혼인을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가볍게 생각하게 되었다. 이렇게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우리의 혼인모습을 반성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우리는 혼인이 진정으로 중요시되고 신성시되던 예전의 우리의 전통혼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 인해서 우리는 진정한 혼인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 우리조상들의 전통혼례가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가르침을 되새겨봐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