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근현대사의 모습과 한국의 나아갈 방향
- 최초 등록일
- 2001.05.13
- 최종 저작일
- 2001.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서론
본론
1.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서의 한계와 상처들
1) 일제 강점기하의 한국
2) 광복 직후의 한국
3) 박정희 정권의 독재 이후
2. [설탕과 권력] 에 나온 서양 제국주의의 권력의 실상
1) 서양과 동양의 근현대사적 관련성
3. 현재 한국의 모습과 미래에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결론
본문내용
대학에 들어와서 여러 각 분야의 교양 강좌를 수강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역사에 관련된 과목을 많이 듣게 되었다. "조선 후기 사회와 실학", "한국 현대사의 이해", 그리고 "한국사"를 그 대표적인 예로 꼽을 수가 있다. 이런 역사 과목을 수강하면서 고등학교 때 까지는 전혀 느낄 수 없었던 역사관을 새삼스레 느끼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내가 새로 느낀 우리 역사에 대한 생각이 기존의 예쁘게 색칠이 된 역사와 또 그 허울 좋은 과거사를 자꾸 덧칠하려 한다는 사실에 초점이 모아졌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예전에 몰랐던 우리 한국의 100년 동안의 가식과 처절했던 민중의 삶을 많이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두 권의 책을 고르면서 되도록 연관된 주제를 찾으려고 노력했다.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이 책은 대학에 들어와서 새로 접할 수 있었던 한국의 정치, 경제사에 대한 내용이어서 서슴없이 골랐다. 그러나 다른 한 권의 책을 선별하는 데 조금 어려움이 있었는데, 『설탕과 권력』이라는 책제목을 보고 나서 왠지 '권력'이라는 단어에 끌리게 되었다. 말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우리의 역사에 많았던 '권력'에 대한 아집과 그 부작용 등이 서로 연관될 수 있을 것 같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