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건축의 특징
- 최초 등록일
- 2000.09.27
- 최종 저작일
- 2000.09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고려를건국한호족세력
1)호족세력의발생3가지경우
2)그들의활동성
3)고려건축에영향력을과시한호족세력(지역성대두)
4)지역성을띠는조형물
■지방호족세력이고려건축에미치는영향
(1-1)고려사회는귀족사회
1)건축의세련미
2)기술인력관리
■귀족세력이고려건축에미친영향
(2)무신란과사회변화모습
1)역사적배경
2)사회변화
(3)중국원의정치간섭기
1)성리학이건축에미치는영향
2)원나라건축장인들
3)라마교의도입
(4)풍수지리사상과종교
1)풍수란무엇인가?.
■풍수지리설이고려건축에미친영향
2)풍수지리사상과종교가건축물의외부공간형성에미친영향
(5)삼국시대(고대)건축과고려시대(중세)건축의특징
1)삼국시대(고대)건축의특징
2)고려시대건축의양식변화
■고려의궁궐건축과사찰건축물들
-궁궐건축-
■만월대
-사찰건축-
■성불사응진전
■심원사보광전
■부석사무량수전
■봉정사극락전
■수덕사대웅전
본문내용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 남북 시대를 맞이하고, 한반도 이남은 통일 신라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고구려, 백제, 신라 이들 세나라의 빛난 문화를 하나의 통일된 문화로 발전시킨 통일 신라의 문화는 고대 국가중 가장 화려한 국가이며, 최초의 통일국가이다. 물론 부분적으로 통일하였고, 당나라의 연합군으로 국가를 형성하여, 스스로의 힘으로 하나가 된 고대 국가는 아니지만, 남겨진 문화는 빛난다. 통일 신라 이후 고려 시대가 맞이하였는데, 신라의 골품제 제도의 모순과 집권 세력의 왕위 쟁탈전으로 인해 중앙 귀족의 권력이 자연히 경주를 중심으로 몰리게 되자, 지방의 지주인 지방 세력(이하 호족이라함.)의 성장이 가속화되었다. 그 세력은 점차 중앙 귀족을 위협할 수 있는 그런 세력으로 변모하자, 그 호족 세력 가중 대표적인 개성, 송악 지방의 왕건이 중앙 귀족들을 몰아내고 최초의 통일국가 ‘고려’를 세우게 되었다.(AD 918년) 고려왕조의 성립은 천여년간의 번영을 자랑하던 경주 대신 개성을 정치 , 문화, 경제의 중심지로 바꾸었다. 고려 시대는 삼국 시대의 화려한 문화를 이어받아 더욱 세련된 문화를 형성하고, 여기에 외국 문물(중국)의 영향으로 새로운 독창적인 건축 조형 방식이 시도 되었으며, 고대 규범을(삼국 시대)에서 탈피하던 때이며, 사회가 변화면서 다채로운 건축적 양상이 전개되던 시기이다. 이렇듯, 건축은 그 시대를 풍미하는 기본 이념, 생활 방식의 변화, 인접한 다른 나라의 영향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에 우리가 고찰해 봐야 하는 중요한 유물인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다음 사항들을 고려 건축의 특징으로 제시해 보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