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 최초 등록일
- 2000.09.23
- 최종 저작일
- 2000.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공리주의 일반적인 내용
목차
Ⅰ.공리주의 발생과 학자들
1.쾌락주의로 부터의 공리주의
Ⅱ. 고전적 공리주의
1. 양적 공리주의-벤담
2. 질적 공리주의-밀
3. 시즈위크 : 보편적인 쾌락주의
Ⅲ. 이상적인 공리주의 : 결과의 윤리
본문내용
공리주의(utilitarianism)는 옳은 행위란 최소한의 고통과 더불어 최대한의 쾌락 혹은 행복을 얻는 것이라는 공리(utility)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이 철학은 존 게이(John Gay, 1699∼1745)의『덕과 도의의 기본원리에 관한 연구』와 윌리엄 펠리(William Paley, 1747∼1805)의『도덕 및 정치철학의 원리』라는 두 저술과 함께 영국에서 시작된 이론이다. 이 두 사상가는 위의 저술을 통하여 공리주의를 신학적인 관점에서 논의했다. 공리주의의 대표적인 이론가로는 영국의 철학자 벤담(Jeremy Bentham)과 밀(John Stuart Mill) 그리고 시즈위크(Henry Sidgwick), 라쉬달(Hastings Rashidall), 무어(George Moor) 등이 있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원한다. 또한 사람은 될 수 있으면 고통을 피하고 쾌락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갖고 있다. 세상 사람들의 이와 같은 자연적 삶의 모습을 근거로 하여 나오게 된 윤리설이 바로 쾌락주의라고 할 수 있다. 쾌락주의 윤리설에 따르면 도덕적인 행위란 쾌락과 즐거움을 증진시키고, 고통을 감소·완화시켜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위이다. 그래서 그 행복의 정도가 크면 클수록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더욱 크다고 평가된다. 즉 어떤 행위를 통해 사람들이 더 많은 행복을 얻으면 얻을수록 그 행위는 더욱더 칭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입장의 대표적 예로서 우리는 고대 그리스의 에피쿠로스 학파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