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중 경남의병의 활동에 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0.09.21
- 최종 저작일
- 2000.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머리말
2. 임진왜란 초기의 상황
3. 임란의병의 성격
4. 경남의병의 활동
5. 임진왜란에 있어 경남의병의 활동이 지니는 의의
6. 맺음말
본문내용
임진왜란 당시, 조선관군의 연이은 패주로 한반도 전역이 일본군의 수중에 들어가는 초기의 전세를 뒤집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조선수군의 활약과 전국에서 봉기한 의병들의 활동임은 널리 주지된 사실이다. 특히 전국최초로 발흥하였을 뿐만 아니라 활약 또한 두드러진 것이 바로 경남지역의 의병이었다.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경남의병의 활동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하나, 임진왜란 초기의 상황을 간략히 살피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발흥한 경남의병의 성격을 세가지 측면--첫째, 경남의병은 민중의 자발적인 구성체였는가, 지방유력자에 의해 조직된 집합체인가 둘째, 경남의병은 지역방위를 위한 향토방위군(鄕土防衛軍)이었는가 관군을 대신해 국토수복에 나선 충의군(忠義軍)이었나 셋째, 임진왜란시 의병의 활약이 이후 전개된 한국사 전반에 걸쳐 영향을 통해 알 수 있는 경남의병의 독자적인 성격은 무엇인가 하는 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둘, 경남지역에서 일어난 의병의 주요 전투들--특히 경남우도를 중심으로 일어난 전투들을 시기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임진왜란시 경남의병의 구체적인 활동과, 이들의 활동이 임진왜란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셋, 경남의병의 활동이 임진왜란에서 행했던 구체적인 역할들, 즉 경남지역의 자체방어, 일본군의 군수물자 보급로의 교란, 일본군의 전라도지역으로의 진격봉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업적을 남기게 되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