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정보화
- 최초 등록일
- 2000.09.18
- 최종 저작일
- 2000.09
- 23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제 2 절 물류 정보화
가. 물류용어의 유래
나. 물류관리의 개념 및 기능
다. 물적유통 정의의 변천과정
라. 물류의 원칙 및 목적
마. 물류의 실현과정
바. 물류사업의 발전단계
사. 물류의 범위
아. 물류의 구성
자. 물류의 5 대기능
제 3 절 물류 정보
가. 물류정보시스템
나. 물류정보네트워크의 정의
다. 전자상거래와 물류 및 배송 흐름
라. 전자상거래에 따른 물류 사업의 신경향
마. 전자상거래와 물류와의 관계
바. 물류공동화
사. 통합물류관리시스템
아. 제3자 물류 : Third Party Logistics(TPL)
자. 유통
차. 국내
본문내용
제 2 절 물류 정보화
가. 물류용어의 유래
- 1960년대 초 미국에서 일본으로 "Physical Distribution"라고 하는 용어가 도입되
어 "물적유통"으로 번역된 것이며 이를 생략,물류라고 일컬음
(1) 전통적인 물류 경영의 문제점
- 재고가 너무나 많다
- 반응이 너무나 느리다
- 모든것이 하나의 타입에 맞추어 진다
- 물류비 상승
(2) 물류의 개념
- 협의의 개념 : 물적 유통(物的流通, Physical Distribution)
생산지점으로부터 소비 또는 이용지점까지 재화의 이동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상적 유통(商的 流通, 즉 거래활동)을 지원
- 광의의 개념 : 로지스틱스(Logistics)
원자재의 조달 및 제품의 생산을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에서 물리적 재화 및 관련 정보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흐르도록 계획, 실시 및 통제하는 것.
나. 물류관리의 개념 및 기능
(1) 물류관리의 개념
물류를 구성하는 기능(수송/보관/하역/포장/유통가공/정보)을 각 개별적인
활동기준에 근거를 두어 관리하는 것이 아닌 각 기능을 통합해서 관리하는
것으로써, 물류의 실행 측면에서 관리하는데 그치지 않고 계획(PLAN), 실시(DO), 평가(SEE)를 포함하는 물류관리로서의 기능을 형성하는 것을 말함.
- 로지스틱스 ; 초기단계의 경제활동인 원재료나 부품의 공급자 단계에서부 터 생산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에게까지 물자가 전달되는 총체적인 과정임.
(2) 물류관리의 요소
무엇을(대상),어떠한 기준에 의해(기준),어떻게 관리하느냐(기법)하는
3가지 요소를 지님
예) 사람(대상), 노동생산성(기준), 작업기준의 설정(기법)
다. 물적유통 정의의 변천과정
(1) 1948년 미국 마케팅협회 : 재화를 생산점(시간과 장소)으로부터 소비 또는 이용점까지 이동하고 취급하는 것임. 유통활동의 판매물류관리의 측면에 국한됨.
(2)1962년 미국 물류관리협의회: 생산라인의 종단에서 완제품을 능률적으로 소비자에게 이동시키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원자재를 공급원천으로부터 생산라인의 시발점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활동을 나타내기위해 제조 및 상업부문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이 활동에는 화물운송, 보관, 하역, 시장예측 및 고객서비스를 포함함
(3)1965년 일본기계진흥협회 : 유형,무형의 "물리적인 재"가 생산자에서부터 수요자에 이르는 실물적인 흐름이며, 상거래에서도 공간적, 시간적인 가치의 창조에 공헌하는 것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