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
- 최초 등록일
- 2000.09.08
- 최종 저작일
- 2000.09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제1장 서론
1.미래사회에 대한 관심
2.미래교회를 위한준비
제2장 한국교회의 과거와 현재
1,한국교회의 성장요인
2.한국교회의 병리 현상
제3장.세계화 지방화 시대의 한국교회
1.세계화의 성경적 의미
2.지방화의 세계사적 의미
3.세계화와 신토불이의 갈등구조 극복
4.세계화 시대의 한국과 한국교회
제 4 장 미래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1.신세대와 미래형 인간
2.가순적 변화
3. 기술 산업의 혁명
4.정보사회
5.새로운 우주관
6.과학의 발달
7.인류 공동체의 보편화
제5장 미래교회 메가트렌드
1. 개교회주의의 퇴조
2. 출석교인의 감소와 헌금의 상승 현상
3.평신도 사역의 극대화
4. 조직교회에 대한 반대
5. 교회의 일치와 에큐메니즘의 활성화
6. 교회 마케팅 이론의 발달
7. 영성적 기능의 부활
8. 디아코니아의 발달
9. 교회정치의 민주화
10. 여성의 교회 정치 참여의 증대
11. 목회구조의 대 변혁
제 6 장 미래 사회와 한국 교회
1.국경이 없는 시대의 한국 교회
2. 통일 시대의 한국 교회
3. 환태평양 시대의 한국 교회
4. 부흥과 쇠퇴의 기로에 선 한국 교회
5. 21세기를 위한 신학교육
6. 12세기를 준비하는 교회
본문내용
제1장 서론
1.미래사회에 대한 관심
코니쉬는 미래에의 변화는 과거 산업혁명과 종교개혁을 열배를 합친 정도의 규모로, 한 세대 안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는 격동기 이고 변화의 속도와 양은 24시간에 한 가지씩 기술혁신이 일어날 정도로 빨라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0년을 바라보면서 낙관론자와 비판론자들은 각각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낙과론자들은 미래에 유토피아가 열릴것이 라는 입장이고 비관론자들은 오히려 디스토피아에 가까운 세상일것이라고 예측한다. 설문에 의한 조사에 의하면 사람들은 자기의 생활이 미래에 나빠질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 뿐 아니라 경제와 정치적인 면에서도 큰 변동이 있을 것이며 우리는 이런 변동의 흐름에 휩싸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지구는 이제 ‘지구촌’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정도로 작아지고 있고 그에 영향을 입어 문화나 생활방식에도 또한 많은 혼란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2.미래교회를 위한준비
교회는 미래 사회가 갖고있는 혼란과 공허함에 해답을 줄 수 있는 유일한 조직체 이다. 그래서 미래의 목회자들은 미래의 목회 구조에의 변화에도 인식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그러나 한국교회는 아직도 성장 신드롬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고 단지 눈앞의 현상에만 연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의 교회 성장학자 칼 조지는 미래교회를 메타교회(meta church) 라고 정의 하고 있다. ‘meta`는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메타교회란 전환기의 교회(church in tansition) 돌아서는 교회(church in turning) 등을 뜻한다. 결국 차세대의 교회는 필연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메타교회의 목회자는 기본적으로 영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미래의 사회에 적응 할 수 있는 교회의 구조적 갱신을 알아야 한다. 메타교회는 변화를 모색하는 교회이고 영적기능을 토대로한 교회이면서 그 질을 유지하는 교회인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