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의 철학
- 최초 등록일
- 2000.09.08
- 최종 저작일
- 2000.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대화의 철학》
제 1 장 지식사회학과 대화 : 범주적 명령과 범주적 대화
1. 대화의 윤리적 의미
2. 이성에 대한 비판
3. 현대화와 도구화
4. 과학과 과학주의
5. 전인적인 인식
6. 합리화의 꿈과 정조
7. 왜 대화인가
8. 진리의 길, 대화
9. 대화의 본질과 윤리
본문내용
1. 대화의 윤리적 의미
오늘 날 문명의 사상적인 기반은 계몽주의이다. 계몽주의는 인간의 이성을 너무나 신뢰했다. 대화가 중요하다는 것은 20세기에 이성이 모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대화를 통해 진리의 길에 이른다는 것을 알게된 것은 두 차례에 걸친 전쟁으로 인해 이성을 신뢰할 수 없다는 인식을 통해 시작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이성을 의지하며 우리 삶의 지상 과제인 현대화와 합리화의 혜택을 받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현대화는 생활환경의 합리화이며, 사유와 행동의 합리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인간의 이성은 삶의 환경을 편리하게 만들고 노동을 효율화하는 데는 크게 이바지했지만, 삶의 목표와 가치를 실현하는 데는 크게 이바지하지 못하고 실패했다. 그래서 칸트(Immanuel Kant)는 이성과 오성을 구별했다. 이성은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고 세계관에 따라 가차들을 이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오성은 객관적인 또는 가치 중립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계산하는 능력을 말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