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화법유형론
- 최초 등록일
- 2000.08.23
- 최종 저작일
- 1997.01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화법 유형론
목차
1. 머리말
2. 의사소통의 정의와 모형
3.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의 유형
4. 화법의 형식과 내용별 유형
5. 맺음말
본문내용
1.머리말
사람은 말이나 기타 신호 방법 등을 통하여 의사 소통(또는 의사 전달,communication)을 한다.* 본고는 文兼 全英雨 박사 화갑기념 국어국문학논총(1994)에 실린 것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의사 소통’은 communication을 좁은 의미로 번역한 것이다.그러나 ‘의사 소통’은 인문과학의 언어과학적 관점에서 communication을 번역한 것으로는 임시적으로 쓸 수 있을지 모르지만 오늘날 사회과학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에서 뜻하는 communication의 번역어로는 포괄적이지 못하다.communication을 ‘자극 전달의 과정’,‘공통성의 수립 과정’,‘한 마음이 다른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과정’등의 뜻으로 포괄적으로 쓰므로(차배근 1976:18) ‘의사 소통’이란 번역은 ‘말’에만 국한한 듯한 오해를 주기 쉬워 매우 협소한 번역이 된다.아직도 이 외래어가 6음절의 외국어 냄새를 풍기며 적절한 우리말로 번역되어 쓰이지 못함은 매우 아쉽다.
말에 의한 의사 소통을 언어적 의사 소통(verbal communication)이라고 하며 그렇지 못한 것을 비언어적 의사 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언어적 의사 소통은 대화,연설,토의,토론,회의 등과 같은 음성언어를 통한 의사 소통법을 가리킨다. 이것은 자음과 모음으로 분절(articulation) 가능한 분절적 음성언어를 매개로 하는데 음성을 이용하지 않을 때는 음성언어를 문자화한 문자언어를 매개로 한 의사 소통, 가령 책,전언문,편지,필담 등과 같은 기록물을 통해서 의사 소통을 하게 된다.
.
.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