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구조론(plate tectonics)
- 최초 등록일
- 1999.10.28
- 최종 저작일
- 1999.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판구조론(plate tectonics)
판의 경계
1.발산형 판
2.수렴형 판
3.옆미끄럼형 판
판운동의 원동력
본문내용
고체지구의 표면이 10여 개의 딱딱한 판(plate)에 의해서 빈틈없이 덮여 있고, 그들 판의 상대운동에 의해 판과 판의 경계를 따라서 갖가지 지학현상이 일어난다고 하는 생각. 1960년대 중반까지 알려진 심해저관측 결과를 보면, 심해저의 대부분은 매끄러워 퇴적물이 거의 수평으로 쌓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실로부터 심해저는 일단 형성되고 나면 그 내부에서는 변형하지 않고 강체판으로서 움직인다는 생각이 널리 퍼졌다.같은 무렵 전세계의 육상 관측망을 정비하여 지진의 진원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하기에 이르렀으며,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곳은 극히 좁은 띠 모양의 지역에 한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그리고 하나의 지진에 대한(특히 초동) 파악은, 여러 방위에 있는 관측점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진의 근원이 되는 힘의 분포(발진기구)까지 알 수 있게 되었다. 지진을 일으키는 힘은 하나의 면을 따라 단층운동을 일으키는 힘과 동등하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었지만, 그 힘의 방향과 성질(압력이냐, 장력이냐, 층밀리기력이냐.)은 각기 지역에 따라 규칙성이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들 기초 사실과 그 무렵에 널리 받아들여지게 된 해저확장설이 결부되어서 판구조론의 개념이 마련된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