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산업화와 한강 개발의 의미
- 최초 등록일
- 1999.02.10
- 최종 저작일
- 1999.02
- 100페이지/
텍스트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한국의 산업화와 한강 개발의 의미
정광용/한국 수자원공사 기술본부장
1. 서 언
인간의 생활과 생명의 원천인 물은 그 나라의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은 물론 각종 문화활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초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을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물은 고대로부터 인류사회의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 왔으며 다른 대체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지구상의 유일무이한 자연의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지구상의 물은 양과 질에서 지역적,공
간적,시간적 환경 및 사회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97%가 해수이고 담수는 3%에 지나지 않으며 이 담수의 70%는 남북극 지역에 얼음으로
존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양은 0.8%에 지나지 않는다.
물의 순환 과정을 살펴보면 태양의 열에너지에 의해 바다나 지표면에서 증발된 수증기는 대기
중에서 다시 비나 눈의 형태로 강하하여 하천수나 지하수를 형성하게 되고 다시 바다로 돌아
가게 되는데, 인간은 이렇게 여러 형태로 변환하여 순환되고 물중의 일부분만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고대로부터 인류는 물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강이나 하천 어귀의 평야 및 연안주변에 모여 살
면서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물의 수요와 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시기에 충분한 용수를
공급하고 수력에너지를 얻으며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치수사업을 시행하고 댐을 건설하게
되었다.
물을 이용하기 위한 시도는 멀리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 인간은 농작물을 재
배할 줄 알았고 그후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인 이집트의 나일강, 메소포타미아의 티그리스강
과 유프라테스강, 인도 북부의 인더스강, 중국의 황하 주변에서 각기 고유의 위대한 문명을 발
전시켰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