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국내문헌
· 1) 서 적
· 김상현·오상현 (2002).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 17(1), p. 65-92.
· 김성혁 (1993). 관광마케팅론. 대왕사, p. 155-157, 159-182.
· 박석주 (1995). 패키지 여행목적지 선택에 있어 세분화시장별 요인 차에 관한 연구. 동아
·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1.
· 박석희 (1990). 신 관광자원. 명보출판사, p. 55-56.
· 박석희 (1994). 최신관광자원론. 일신사, p. 234-235.
· 박시사 (2001). 관광소비자행동론. 대왕사, p. 182-183.
· 심인보 (1999). 호텔이미지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여행학연구 9호, 한국여행학회, p.131.
· 엄서호 (1991). 관광여행 목적지 선택과정에 있어서 지각억제인자와 지각촉진요인의 역할,
· 여가생활연구, p. 2.
· 오상훈. 관광행동의도 형성가정에 관한 경로분석.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제 15호.
· 윤대순 (2002). 관광경영학론. 백산출판사, p. 147.
· 이선희 (1994). 관광마케팅개론. 대왕사, p. 191, 262, 277.
· 이은정외 2인 (1998). 해외관광지에 대한 인지와 선호. 관광지리학 제8호, 한국관광지리학
· 회, 3, p.88.
· 이장춘 (1997). 최신관광자원학. 대왕사, p. 111.
· 이주형 외 (2002). 제2판 관광사업론. 대왕사, p. 91.
· 이태희 (1996). 관광산업발전론-한국관광선진화의 과제. 일신사, p. 105-106.
· 이태희 (1997). 한국 관광지이미지 측정척도의 개발. 관광학연구 제20권 제2호, p. 80-96.
· 이태희·박기홍 (1994). 한국의 관광이미지 해외홍보 개선방안. 교통개발 연구원, p. 22.
· 정익준 (1994). 최신관광사업론. 형성출판사, p. 119.
· 조비행 (2000). 한국 신세대의 호주 관광이미지평가. 한국관광학회 제47차 학술심포지엄학
· 술연구발표논문집, p. 207-217.
· 조송빈 (1993). 신관광학 총설. 형설출판사, p.129.
· 표성수 (2000). 관광객의 기대 및 지각과 관광지 이미지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6권(3/4),
· p. 1-18.
· 홍부길 (1986). 소비자 행동분석. 일신사, p. 205.
· 한경수 (1992). 관광객행동론. 형설출판사, p. 76.
· 한국관광정책, TV미디어의 관광활용, 2003년 4호.
· 2) 논 문
· 곽노엽 (1999). 관광지속성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7.
· 권정택 (2000). 관광이벤트의 방문동기와 사후 이미지가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
· 향.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6-47.
· 권창용 (1992). 호텔이미지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제16호,
· p. 1-5.
· 김병국 (2000). 관광지 이미지의 형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한 (1996). 신혼여행객의 관광지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 학위논문, p. 9-10.
· 김원인 (1994). 위락관광지 선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충기 (1999). 관광지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미지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
·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25.
· 노윤구 (2000). 관광지이미지 형성의 인지적요인과 관광객 만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 박의서 (1999). 한국관광 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p. 12-13, 25.
· 신동일 (1999). 관광지이미지 포지셔닝 우위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 논문, p. 23.
· 안종수 (1993). 가족휴가선택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오남삼 (1991). 관광지 주민의 관광형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p.19.
· 오상훈 (1992). 관광의 성격과 관광목적지에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
· 위논문, p. 56-57.
· 오영준 (2006). 관광지이미지가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관광객 감정을
· 중심으로.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6, 43-45.
· 윤동구 (2000). 관광객만족구조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성원 (2000). 주한 외국 유학생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 조사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p. 8.
· 이상봉 (2002).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
· 원 석사학위논문. p.2, 16, 32-34, 42, 45-46.
· 이애주 (1988). 관광지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장주 (1998).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 박사학위논문, p. 21, 24.
· 최승이 (1999). 관광지 이미지 포지셔닝 우위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
· 위논문, p. 20.
· 홍수희 (1998). 관광이벤트가 관광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p. 21-22.
· 황병춘 (2003). 관광지이미지와 선택연구 : 영상매체 영향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p. 23-24, 27-28, 29-30, 34-44.
· Ⅱ. 국외문헌
· Ahmed, Z. A. (1991). The Influence of State Tourist image Positioning Strategy:
· Tourism Management, Vol. 12, p. 331-340.
· Assael, H. (1984).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Boston : Kent,
· p. 134-137.
· Berendien Lubben (1998). Primary image as a dimension of destination Image : An
·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7, 4, p. 23-25.
· Brian G. Boniface and Christopher P. Cooper (1988). The Geography of Travel and
· Tourism, Oxford : Heinemann Professional Publishing, Ltd., p. 26.
· Boulding, K. E. (1961). The Image, Ann Arbor The Univ. for Michigan Press, p. 5-6.
· Crompton, J. L. (1992). Structure of Vacation Destination Choices Sets. Annals of
· Tourism Research, 19, p. 420-434.
· Edward J. Mayo and Lance P. Jarvis. The Psychology of Leisure travel, Boston: CBI,
· p. 181.
· Embacher, Johann and Francis Buttle (1989). A Repertory Grid Analusis of AQustria`s
· Image as a Summer Vacation Destin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 27(winter).
· Engel, James F. and Roger D. Blackwell (1982). Retailing Crowding: Theoretical and
· Strategic Implication. Journal of Retailing, 62, p. 346-363.
· Engel James F., Roger D. Blackwell and Milliard W. P.(1995). Consumer Behavior. The
· Dryden Press, p. 63.
· Gartner W. C. (1989). Tourism Image : Attribute Measurement of State Tourism
· Product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s. Journal of Travel
· Research, Vol. 28, p. 16-20.
· Gartner. W. C. (1993). Image Formation Process, Communication and Channel Systems
· in Tourism marketing, p. 191-215.
· Gartner, W. (1993). Image Formation Process.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 Vol. 2, p. 210.
· Gitelson, R. L., J. L. Crompton (1983). The planning Horizons and Sources of
· Information used by Pleasure Travele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21, p. 2-7.
· Goodall, B. (1991). Progress in tourism recreation and hospitality management, p. 62.
· Gunn C. A. (1972). Vacationscape: Designing Tourist Regions. University of Texas
· Press, Austin: Bureau of Business Research.
· Gunn C. A. (1979). Tourism Planning, New York : Crane Rassak, p. 314-332.
· Haahti, A. J. (1986). Finland`s Competitive Position as a Destination: Annals of
· Tourism Research, Vol. 28. p. 16-20.
· Haward, A. J. and J. N. Sheth (1969).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New York: John
· Wily and Sons, INC.
· Hunt, J. D. (1975). Image as a factor in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ravel
· Research, 13(3), p. 10-4.
· Kelly J. Mackay and Daniel R. Fesenmaier (1997). Pictorial element of destination in
·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 3, p. 538.
· Kotler, P. (1981). Principles of Marketing, N. J: Englewood Prentice-Hall, p. 631.
· Lindquist , J. (1974). The Meaning of Image. Journal of Retailing, 50(4), p. 29-38.
· Lawson F. & Boud-body M. (1977). Tourism and Recreation Development, London:
· Architectural Press, p. 133.
· Mill, R. C. (1982). The Tourism, N. J.: Prentice-hall, p. 102-113.
· Mill, R. C. and Morrison, M. A. (1995). The Tourism System: An Introductory Text,
· Third Edition, p. 69-88.
· Oliver, Richard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p. 460-469.
· Paul C. Fakeye and John R. Cromton (1991). Image Differences Between Prospective,
· First-Time and Repeat Visitors the Lower Rio Frand Valley, Journal of Travel
· Research, Vol. 30, Fall, p. 11.
· Seo ho Um and John L. Crompton (1990). Attirude Determinants in Tourism
· Destination Choice.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17, p. 432-448.
· Seyhmus Baloglu. and ken W. McCleary (1999).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6, p. 870-871.
· Stephen Smith (1983). Recreation Geography, Burnt Mill : Longmanroup, Ltd., p. ⅷ.
·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2nd edition, Oxford : Clarendon Press.
· Scott W. A. (1996).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International Image, in H. C.
· Kelman, eds., International Behavior, N. Y. Holt, Kinehart and Winton,
· p. 170-177
· Vanraaji, W. F. (1986). Consumer Research on Tourism: Mental and Behavioral
· Construct. Annals of Tourism Research,13, p. 1-9.
· Vanraaji, W. F. and G. Eilander (1983). Consumer Economizing Tactics for Ten
· Product Categori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p. 169.
· Vanraaji, W. F. and D. A. Francken (1984). Vacation Decision, Activities and
· Satisfaction, Annal of Research, Vol. 11, No. 1, p. 106.
· Walters, C. G. and G. W. Paul (1974). Consumer Behavior-An Integrated Framework,
· Ⅲ.: Richard D. Irwin, p. 6-7.
· Westbook, Robert A. (1980). Interpersonal Affective Influences upon Consumer
· Satisfation with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June), p. 49-54.
· Westbook, Robert A. and William C. Black (1985). A Motivation-Based Shopper
· Typology. Journal of Retailing, 61(Spring), p. 80-103.
· William C. Gartner (1993). Image Formation Process. Journal of Travel & Tourism
· Marketing, Vol. 2, No. 2/3, p. 197-204.
· William C. Gartner (1989). Tourism Image; Attitude Mesurement of State Tourism
· Product Using Multi-dementional Scaling Technical. Journal of Travel Research,
· Vol. 6, Fall, p. 16.
· Woodside A. G. and Lysonski S. (1989). A General Model of Traveler Destination
· Choice. Journal of Travel Research, 27, p. 8-14.
· 前田勇 (1980). 人森信治浪, 観光とイメージ, 월간관광, p.51.
· 前田勇 편, 이선희 옮김 (1997). 현대관광학 전개-관광행동. 문화관광. 국제관광교류,
· p.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