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살성 자해(Nonsuicidal Self-Injury, 이하 NSSI)는 죽으려는 의도 없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신체 조직에 직접적인 손상을 가하는 행동으로 학술적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는 행위의 두 가지 핵심 요소를 명확히 하는데, 첫째는 행위가 '의도적'이라는 점이고, 둘째는 '자살 의도가 부재'하다는 점이다. 즉, NSSI는 우발적인 사고나 사회·문화적으로 용인되는 행위(예: 피어싱, 문신)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고의성을 가진 자기 파괴적 행동이다.
NSSI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행동 유형은 매우 다양하며, 가장 흔하게 보고되는 것은 칼이나 면도날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피부를 베는 행위(cutting)이다. 이 외에도 담뱃불이나 뜨거운 물체로 피부를 태우는 행위(burning), 벽이나 사물에 신체를 부딪히거나 스스로를 때리는 행위(hitting), 피부를 심하게 긁거나 문지르는 행위(scratching, rubbing), 바늘로 찌르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행동들은 반복적인 경향을 보이며, 한 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흔하다.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DSM-5)에서는 NSSI를 공식적인 진단명은 아니지만,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Conditions for Further Study)'로 분류하여 그 임상적 중요성을 인정하였다. DSM-5에서 제안하는 진단 기준 중 하나는 지난 1년 동안, 5일 또는 그 이상 자해 행동에 관여한 경우로, 이는 NSSI가 일회성 사건이 아닌 반복적인 패턴을 가질 수 있는 문제임을 시사한다.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 Andover, M. S., & Gibb, B. E. (2010). Non-suicidal self-injury, attempted suicide, and suicidal intent among psychiatric inpatients. Psychiatry Research, 178(1), 101-105.
· Baetens, I., Claes, L., Muehlenkamp, J., Grietens, H., & Onghena, P. (2011).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SSI,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parenting. Journal of Adolescence, 37(6), 817-826.
· Berkowitz, L. (1989).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Examination and reformul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6(1), 59–73.
· Brown, M. Z., Comtois, K. A., & Linehan, M. M. (2002). Reasons for suicide attempts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1), 198–202.
· Chapman, A. L., Gratz, K. L., & Brown, M. Z. (2006). Solving the puzzle of deliberate self-harm: The experiential avoidance model.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3), 371-394.
· Cipriano, A., Cella, S., & Cotrufo, P. (2017). Nonsuicidal self-injury: A systematic review. Frontiers in Psychology, 8, 1946.
· Dollard, J., Miller, N. E., Doob, L. W., Mowrer, O. H., & Sears, R. R. (1939). Frustration and aggression. Yale University Press.
· Favazza, A. R. (1987). Bodies under siege: Self-mutilation in culture and psychiatr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Favazza, A. R., & Rosenthal, R. J. (1993). Diagnostic issues in self-mutilation.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44(2), 134-140.
· Fox, K. R., Franklin, J. C., Ribeiro, J. D., Kleiman, E. M., Bentley, K. H., & Nock, M. K. (2017).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 comparison of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143(11), 1165–1195.
· Freud, S. (1964). New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J. Strachey, Trans.). W. W. Norton & Company. (Original work published 1933)
· Gratz, K. L., Conrad, S. D., & Roemer, L. (2002). Risk factors for deliberate self-harm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2(1), 128–140.
· Hamza, C. A., Stewart, S. L., & Willoughby, T. (2012). Examining the link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n integrated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32(6), 482-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