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츌리 에센셜 오일의 흡입에 따른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화합물의 변화 (Fatty Acid Profiles and Volatile Compounds in the White Adipose Tissue of Sprague Dawley Rats After Inhalation of Patchouli Essential Oil)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1.09
9P 미리보기
패츌리 에센셜 오일의 흡입에 따른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화합물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50권 / 9호 / 1001 ~ 1009페이지
    · 저자명 : 홍성준, 부창국, 정향연, 윤소정, 조성민, 신의철

    초록

    본 연구는 일반식이 및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실험동물 중 DW와 PEO를 흡입 후 발생한 체내 변화에 대해 관찰하였다.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그룹에서 일반식이를 섭취한 그룹에 비해 palmitic acid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ole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그리고 n-6 계열의 지방산들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0.3%의 PEO를 흡입한 그룹에서 palmitic acid가 H 그룹에 비해 감소하였고(P<0.05), linolenic acid가 H 그룹에 비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그리고 PEO를 흡입한 그룹 모두에서 H에 비해 oleic acid와 α-linolenic acid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지방산 결과에 대한 주성분 분석에서 총 10종의 variables를 확인하였다. N의 경우 C18:3n-6(linolenic acid)과 C18:0(stearic acid)이 variable로 확인되었고, H 그룹은 C20:3n-3(eicosatrienoic acid)가 variable로 확인되었다. H-LPI는 C18:1n-9(oleic acid)가 variable로 확인되었고, H-HPI는 C20:0(arachidic acid)가 variable로 확인되었다. 앞선 variables에 식이 섭취의 종류, 흡입 용액의 종류(DW와 PEO) 및 흡입 농도에 따라 PC1과 PC2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나타내었다. 군집 분석의 결과 H와 HPI가 H-HPI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었고, N 그룹과 H-LPI 그룹은 H-HPI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 간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전자코 분석 결과는 acetaldehyde, ethanol, dimethyl sulfide가 모든 샘플 중에서 가장 높은 peak area를 나타내었다. 전자코 시스템을 통해 얻은 휘발성 화합물의 결과를 주성분 분석하였고, 그 결과 N 그룹은 thiophene과 α-pinene에 의해 제1 사분면에 위치하였고, H-LPI 그룹은 propyl acetate와 α-terpinen–7-al에 의해 제 2사분면에 위치하였다. H-HPI 그룹은 hexadecanal의 영향에 의해 제 3사분면에 위치하였고, H 그룹은 2-butanamine의 영향에 의해 제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군집 분석의 결과는 총 2개의 cluster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cluster I은 H 그룹과 H-HPI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Cluster Ⅱ는 H-LPI와 N 그룹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PEO의 흡입에 따른 백색지방의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화합물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검토 및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variations of fatty acid profiles and volatile compounds in the white adipose tissue (WAT) of high-fat diet-induced rats (HFD) after inhalation of patchouli essential oil (PEO). The HFD-fed groups exhibited a decreasing trend in the levels of palmitic acid compared to the normal diet-fed group (N), n-6 fatty acids also showed a decreasing trend compared to group N. On the other hand, oleic acid in HFD-fed groups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compared to group N. The groups which inhaled PEO showed a relative increase in oleic and α-linolenic acids. Rats which inhaled PEO (H-LPI) showed a lower percentage of palmitic acid compared to group H (high-fat diet-induced group). However, linolenic acid was higher than in group 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ed that a total of 10 variables were identified. In group N C18:3n-6 and C18:0 were identified as the main variables, and in group H, C20:3n-3 was identified as the main variable. C18:1n-9 was identified as the main variable in group H-LPI, and in group H-HPI, C20:0 was identified as the main variable. The electronic nos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acetaldehyde and ethanol as the most abundant volatiles in all samples. The PCA result of volatiles represented about 83.16% of total variances in the dataset, with PC1 and PC2 representing 43.68% and 39.47%, respectively of the variance out of the total variance.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were segregated into two groups, group H & HPI, and group N & H-LPI.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volatiles in white adipose tissue via inhalation of essential oi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