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케이팝(K-Pop) 음악과 산업에서 미국 흑인음악의 재맥락화 연구 : 브리콜라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ntextualization of African-American Pop Music in K-Pop Music and Industry: Focusing on Bricolag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4.03
15P 미리보기
케이팝(K-Pop) 음악과 산업에서 미국 흑인음악의 재맥락화 연구 : 브리콜라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산업연구 / 24권 / 1호 / 23 ~ 37페이지
    · 저자명 : 이한응, 장민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미에서 질적 연구의 논리적 사고 개념으로 확립된 브리콜라주의 다중방법론에 입각하여 미국 흑인음악이 케이팝 음악과 산업에서 재맥락하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다중방법론은 브리콜라주의 주요 개념인 다중관점, 상호텍스트성, 변증법을 삼각검증법과 결부시켜 동일 구조화한 것에 기초한다. 이를 미국 흑인음악의 복잡성과 엄밀성에 따른 실재와 내장질서가 케이팝 음악과 산업에서 상호하는 교집합의 관계와 입각하였다. 연구 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즈와 랩 음악에서 해석, 이론, 방법론적 브리콜라주의 원리에 따라 서로 연관된 상호텍스트들은 케이팝 음악의 중추가 되었다. 둘째, 케이팝 산업은 백인의 산업성을 차용한 미국 흑인음악 산업의 분업적인 제작체계화, 하위문화와 상위문화의 재구조화, 로컬과 글로벌의 동일화를 재맥락하였다. 이를 통해 케이팝은 그 특유의 세계관을 구축하고 글로컬 팬덤을 형성하고 있다. 셋째, 케이팝은 디지털 브리콜라주 방식과 바이럴 마케팅을 통해 관객의 재생산을 유도하며, Gen Z 세대는 이를 바탕으로 케이팝을 다각적인 하이퍼미디어 형태로 재수용하고 있다. 넷째, 초대형 케이팝 기획사들은 내외수의 취향을 충족하기 위해 글로컬 멀티레이블 제작시스템을 도입하고, 청자의 재맥락과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감정공명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근래의 미국 흑인음악과 케이팝은 하이퍼 팝의 디지털 브리콜라주 방식을 통해 하위음악과 상위음악의 재역치와 인간의 감정을 상호매체성에 의해 미디어와 혼용한 하이퍼맥락성의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케이팝은 가상과 현실의 동시각적 요소들을 통합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는 재매개체이며, 엄밀하고 복합적인 초-정의 형태로 동일화되어 다원개별적인 하이퍼맥락성의 브리콜라주적 특성을 지닌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econtextualization of African-American music within K-pop, employing a bricolage multi-methodology that emphasizes logic, multi-perspectivity, intertextuality, and dialectics. It finds that the growth of K-pop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terconnectedness of jazz and rap, redefining production roles and cultural norms to create a unique K-pop worldview and a global-local fandom. Additionally, K-pop's adaptation of digital bricolage and viral marketing has made it appealing to Gen Z,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hypermedia. Major K-pop agencies have responded by establishing transnational production systems and using emotional resonance to foster recontextualization and active audience engagement.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emergence of hyper pop music, blending different musical styles and emotions through digital techniques. Conclusively, K-pop serves as a dynamic intermediary between virtuality and reality, reflecting modern trends in a detailed, hyper-contextual manner that showcases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bricol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산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