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방송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자 연구 -부산지역 지상파 3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y program producing in local broadcasting st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2.02
34P 미리보기
지역방송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자 연구 -부산지역 지상파 3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6권 / 1호 / 223 ~ 256페이지
    · 저자명 : 이희승

    초록

    최근 국내 지상파 및 케이블 TV에는 오디션, 서바이벌, 리얼 버라이어티 등 리얼리티 프로그램들이 범람하고 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제작자 중심에서 벗어나 수용자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프로그램 포맷으로써, 지역사회의 문화와 목소리를 반영하면서 지역성을 구현하고자하는 지역방송의 목적에 부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지상파 3사의 PD와 작가들을 대상으로 제작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제작주체의 인식과 지역방송이라는 지형에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전유되는 방식을 고찰해보았다. 먼저, 지역방송 제작주체들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을 느슨한 사전기획과 현장의 즉흥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재연 장치의 활용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로, 지역방송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 프로그램 포맷 설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에도 불구하고, 제작 현실에서는 포맷 개발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정된 제작비, 인력의 한계, 동기부여 부족 등 열악한 프로그램 제작 환경에 기인하고 있었다. 셋째로, 지역방송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도 시청자의 출연자와의 유대감과 일상과 유사한 사건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라는 국내 방송 고유의 특성이 드러났으며, 제작주체들은 출연자들의 캐릭터라이징을 통해 리얼리티나 재미를 이끌어내기 위해 고민하고 있었다. 반면, 중앙방송과 차별화된 지역성의 구현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제작자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역사간 공동기획 활성화, 일반인의 참여와 관심을 높이고 기업이나 관공서의 협찬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포맷의 개발, 그리고 지역성을 공익성으로 환원하는 대신 오락적 가치를 지역성의 중심축으로 받아들이는 제작주체의 인식 전환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Recently, there is a flood of reality programs such as auditions, survivals, and real varieties on the domestic terrestrial channels and cables. The reality program has a program format that can elicit recipi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departing from the producers, and can tailor to the aim of the local broadcasting, which is to conceptualize the locality reflecting the culture and the voice of the local society. This study examined how reality programs are appropriated in the context of local broadcasting station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with producers and writers in three local broadcasting stations in Busan to ask their perceptions on the reality program. First, the production agents perceived loose prior planning and spontaneity as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the reality program, but they showed passive attitudes toward the use of reconstitution apparatus. Second, despite their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 format setting in producing the reality program of the local broadcasting station, the effort devoted to the format development was reported to be lacking in reality. This was ascribed to poor production environments such as limited production cost, human resources, and lack of motivation. Third, the unique traits of domestic broadcasting, the bond with audience casts and sympathy on events similar to daily life, were also found in the reality program of the local broadcasting station. Further, the production agents were concerned to elicit reality and pleasure through characterizing casts.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suggest any clear direction for conceptualization of locality differentiated from central broadcasting. This study further suggested vitalizing co-planing among local broadcasting stations in the future and developing a program format that can enhanc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interest and can facilitate sponsoring from companies and public offic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production agents change their perception to accept entertainment value as the primary axis instead of turning locality to publ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역과 커뮤니케이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