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혁신유인형 인사시스템이 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창의적 과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Team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Creative Process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5.05
27P 미리보기
혁신유인형 인사시스템이 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창의적 과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사조직연구 / 23권 / 2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박종욱, 김성수, 이용진

    초록

    최근 고성과 작업시스템 연구들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현상이 두드러진다. 첫째,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개념상의 모호성에 대한 지적에 따라 구체적인 전략적 방향성을 인사시스템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이다. 둘째, 동일하게 적용된 인사제도라 하더라도 실제 실행 패턴 혹은 강도가 팀 수준에서 상이할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다. 이에 따라, 최근 다수의 연구들이 조직 내 수준(예: 팀, 유닛)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을 측정하고 있다. 문헌 조사 결과, 이와 같은 연구 주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려는 국내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에 혁신 행동을 배태시킨 혁신유인형 인사시스템이라는 개념을 개발하고, 이를 팀 수준에서 적용하였다. 또한, 인사제도는 구성원의 역량과 동기 수준을 향상시켜 바람직한 역할 행동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는 조직 성과에 유의미한 여향을 미친다는 행동주의적 관점을 채택하여, 혁신유인형 인사시스템은 팀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팀 내 창의적 과정이 혁신유인형 인사시스템과 팀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국내 준공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으로부터 수집한 총 27개 팀 212건의 자료를 팀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혁신유인형 인사시스템은 창의적 과정 및 혁신 성과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창의적 과정이 인사시스템-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을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혁신유인형 인사시스템과 일반적인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효과성 크기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흥미롭게도,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창의적 과정뿐만 아니라 혁신 성과와 어떠한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이는 구체적인 전략적 방향성과 밀접하게 연계된 인사제도를 설계하는 것이 기업의 목표달성에 중요함을 제시한다고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내포하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Innovation has increasingly been recognized as the quintessential element in the survival and success of an organization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In the pursuit of innovation, effective teamwork has been acknowledged to play a pivotal role. For this reason, organizing work around teams has been widely used by organizations to achieve their strategic goals. The advent of work groups within a company has two major avenues of inquiry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HRM) research: 1) the possible existence of within-organization variability in the implementation of HR practices; and 2) the effects of HRM systems on team processes and subsequent team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onceptual ambiguity of general HPWS has raised concern among SHRM researchers that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HPWS leads to certain organization outcomes is at best unclear. Hence, we have witnessed several attempts to embed specific strategic direction in general HRM systems.
    In response to the above issues, our current study intends to conceptualize a team-level HRM system by integrating the discussion on variability within an organization and the theory of a shared unit climate. We also attempt to develop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that embeds innovative behaviors in an ability-motivation-opportunity model of HRM. We propose that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would positively affect team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at team creative processe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e draw on behavioral perspectives as well as the input-process-outcome framework to provide the theoretical rationale. We argue that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would be closely associated with team innovation performance because it not only promotes innovation-related role behaviors but also develops relevant skills and competencies in the employees. We also contend that policy intervention (i.e. HR practic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performance by engendering creative processes within a team.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to which we attempt to provide answers in this research are, “Is it empirically appropriate to conceptualize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at the team level?” and, “If so, what impact does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have for teams?” Additionally, we ask, “Is there any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general HPWS and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We tested our hypotheses with a 27 team survey data gathered from a Korean public organization (n=212). First, we justified the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at the team level with ICC (1), ICC (2), and . We then found that the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team innovation performance and team creative processes. As predicted, our results suggested that team creative processes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and team innovation performance. Interestingly, the effects of general HPWS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for both team innovation performance and team creative processes. This result indicate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HR practices that align with a specific strategic direction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Our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SHRM literature in several ways. First, we have provided partial evidence of a team-level HRM system, which has been discussed conceptually in the literature. Second, we not only proposed an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but also clarified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it affects team processes and outcomes. Third, we compared the effect size of the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and that of HPWS, finding that the innovation-inducing HRM system outperforms general HPWS in predicting team creative process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We believe that our attempt is noteworthy in that prior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 specific HRM system have not offered comparative results. Considering the outcome of our current study, we suggest that practitioners design individual HR practices predicated upon organizational strategy and goals. For instance, practitioners should develop selection tools specifically focused on identifying creative, open-to-change job candidat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pursuit of innovation. For incumbent employees, management should clearly explain why changes are necessary and where the company is heading while offering intensive training to equip these employees with necessary skills and competencies. It is also essential to develop relevant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and compensation schemes. In addition, change-related activities of teams should be sponsored from the top in the form of financial or other incentives. Finally, team leaders could create a climate of innovation by arranging regular meetings to discuss both new ways to complete work tasks and possible product or service impro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