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팀 자본인가, 팀 동적역량인가?: 팀 성과 예측을 위한 자원준거관점과 동적역량관점의 통합에 관한 연구 (Test of an Integrative Model of the Resource-Based View and the Dynamic Capability On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3.02
31P 미리보기
팀 자본인가, 팀 동적역량인가?: 팀 성과 예측을 위한 자원준거관점과 동적역량관점의 통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42권 / 1호 / 53 ~ 83페이지
    · 저자명 : 정예지, 윤정구

    초록

    본 연구는 팀의 성과를 예측하는 대표적인 두 이론으로 자원준거관점(resource based view)과 동적역량관점(dynamic capability view)의 통합적 모형을 제시하고 그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원준거관점에서는 고성과 달성을 위한 차별적 자본을 팀이 보유하고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팀의 경쟁우위 및 성과가 결정된다고 보는 반면 동적역량관점은 팀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 잘 적응해나갈 수 있는 팀의 고유한 업무 방식과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통합 모형에서는 자원준거관점의 예측대로 팀이 가지고 있는 차별적 자원의 조합이 팀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주어진 기존 팀 자원을 조합, 활용, 조정, 통합하는 팀 특유의 루틴, 즉 동적역량을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을 거둘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자본과팀 동적역량이 팀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은 물론 통합 모형을 통해 팀 자본이 팀 동적역량을 매개로 팀 성과를 창출한다는 통합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팀 제도가 활성화 되어 있는 국내 5개 기업,121개 팀의 693명을 대상으로 팀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에서 제시한대로 팀 자본과 팀 동적역량은팀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팀 자본은 동적역량의 매개역할을 통해서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이론적 의미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의했다.

    영어초록

    Team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wo key factors: (1) the competitive team-based capital,and (2) the effective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hat capital. The resource-based view (RBV) is built upon the first factor and the dynamic capability one (DCV) is built upon the second factor. The resource-based view argues that companies gain competitive advantage when they can mobilize unique and non-substitutable resources compared with their competitors’. In contrast, the dynamic capability view stipulates that companies entertain higher performance when they develop distinctive routines, that is, dynamic capability that enable them to apply the capital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ever-changing environments.
    Building upon the research of resource-based and dynamic capability views, we propose that teams can gain their competitive advantage when they have both unique resources and ability to mobilize them successfully. As a way of integrating the two perspectives, we theorizes the mediating model of team dynamic capability. We argue that team dynamic capability mediate the given combination of team resource or capital to the team performance.
    To test the integrative model, we developed the typology of team capital into team cultural capital, structural capital,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We also elaborate the concept of team dynamic capability on the team level. Specifically, we define team dynamic capabilities as the ability for a team not only to exploit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capital but also explore or innovate it to the team’s performance. The integrative model was tested with 121 teams and 693 team members sampled from the 5large companies in Korea in a given time period. To correct the common method variance, we collected data from team leaders and members separately. The unit of analysis is team. We used Lisrel analyses to examine the causal model with the measurement model corrected.
    Ou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eam capital as unique and distinctive team resources increases team dynamic capability significantly. Looking at the relative effect size of each component of team capital,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on the dynamic capability are larger than those of structural and cultural capital. This result would imply that social and human capital at the team level play a key instrumental role in bridging the ‘outside’ resources into the inside capital of the team. The social and human capital also levels up the team learning ability by exploring new ideas in environments.
    Second, team dynamic capability promoting both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is the key parameter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capital and team performance.
    Especially, team dynamic capability fully mediates the effects of struc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eam performance. By leveraging, modifying, and recreating the configuration of team capital, teams excel higher performance.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support our ‘synthetic model’ of the resource-based and dynamic capability perspectives evidencing that teams simply equipped with sufficient capital are not good enough to attain high performance. Teams should have dynamic capability as well as unique resources. Retaining valuable team capital and building capital-utilizing-ability are two distinct, but interrelated mechanisms to excel team performance. The rationale is that team capital as team resources affects team performance ‘prior to’ the resourc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at is, team dynamic capability. The key to excellent team performance is that the team has routines known as dynamic capability. We conclude that resource keeping and utilizing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the synthesis of the resource based and dynamic capability 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analyzing how firms or teams are creating higher perform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