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한된 합리성의 재해석: 생태학적 합리성과 규범적 휴리스틱 (Rethinking Bounded Rationality: Ecological Rationality and "Normative" Heuristic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07.12
25P 미리보기
제한된 합리성의 재해석: 생태학적 합리성과 규범적 휴리스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연세경영연구 / 44권 / 2호 / 341 ~ 365페이지
    · 저자명 : 윤세준, 채연주

    초록

    심리학의 다른 영역들과는 달리 판단과 의사결정(Judgment and Decision Making; JDM)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는 기술적 모델과 규범적 모델이 양립하고 있다. 그런데 JDM 연구의 가장 큰 문제점은 규범적 모델과 기술적 모델 사이의 간극이 매우 크고 심지어 이둘 사이의 관계가 상호 대립적이기까지 하다는 점이다. 즉, 규범적 모델이 제한 받지 않은 절대적 합리성을 가정하는데 반해 기술적 모델을 채택하는 연구들은 인간의 판단과 선택능력에 대해 특별한 가정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Kahneman과 Tversky의 영향을 받은 기술적 모델의 연구자들은 암묵적 혹은 묵시적으로 인간의 비합리성을 다양한 형태로 드러내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 논문은 그 동안의 JDM 연구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거의 형용모순(oxymoron)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규범적 휴리스틱”(normative heuristics)이라는 제목 아래에서 기술적 모델과 규범적 모델 사이의 거리 좁히기가 가능한 것인가 탐색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JDM에 관한 규범적 모델과 기술적 모델이 어떤 역사적 궤적을 그리며 발전해왔는가를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런 후 기술적 모델과 규범적 모델을 연결시키는 고리의 역할을 하는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재해석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생태학적 합리성’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재인 휴리스틱, 최선의 대안 선택하기 휴리스틱 등과 같이 비교적 단순하지만 환경의 구조적 특성과 맞기만 하다면 인간을 현명하게(smart) 만들어 주는 휴리스틱들을 소개하여 생태학적 합리성이라는 개념이 사회과학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할 것이다.

    영어초록

    Unlike many other fields of psychology, the study of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JDM) must deal with two aspects of human thinking. That is,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not just models of how we normally do think (i.e., descriptive models) but also construct models of how we ought to think (i.e., normative models). Until very recently, the most influential normative model of JDM has been provided by Expected Utility Theory and theorems of the modern probability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most powerful descriptive model was that of Kahneman and Tversky’s Prospect Theory (and decision heuristics), which also is widely known as the most robust derivative of Herbert A. Simon’s notion of bounded rationality. Historically, these two models developed in parallel but the normative model always specified an ideal standard by which human rationality is evaluated. As a consequence, bounded rationality has been seen either as the attempt to do as well as possible given the demands of the world--the notion of optimization under constraints--or as the suboptimal outcome of the limited cognitive system--the realm of irrationality and cognitive illusions.
    In this paper we reconsider Simon’s concept of bounded rationality in a new light and try to construct an integrative model which not only accurately represents the actuality of human JDM but at the same time is capable of providing some normative standards of good decision making. For this purpose we will briefly but critically revie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JDM research. Then we will refer to recent theoretical propositions and empirical findings of a German psychologist, Gerd Gigerenzer and his colleagues. Form their perspective, bounded decision mechanism are not merely the only option available given the constraints of the agent and the external world; less information and heuristic decision making can actually enable greater accuracy than more in some cases. Specifically, we will present detailed examples of how two heuristics inspired by Simon’s ideas on recognition-based processing and satisficing in sequential search lead to more accurate JDM. As a final comment, a few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organizations will be mentio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