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V 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 및 영상구조 비교연구: ‘해고노동자’ 주제 <시사플러스> <시사프로젝트 통>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s and the Image Components of Two TV Current-Affaairs Documentaries: A Case Study of Daejeon KBS’s and Daejeon MBC’s on the Displa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4.01
25P 미리보기
TV 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 및 영상구조 비교연구: ‘해고노동자’ 주제 &lt;시사플러스&gt; &lt;시사프로젝트 통&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25권 / 1호 / 235 ~ 259페이지
    · 저자명 : 정종건

    초록

    본 연구는 동일한 소재를 다룬 지역 텔레비전 시사다큐멘터리 프로그램 2편의 서사구조와 영상구조를 비교․분석하여 그에 따른 현실재현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 같은 시기에 ‘해고노동자’라는 소재를 방송한 KBS대전의 <시사프로젝트 통>과 대전MBC의 <시사플러스>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채널 간 차이점을 보였다. <시사플러스>에서는 해고노동자들이 겪는 고통을 해당기업과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접근한 반면 <시사프로젝트 통>에서는 해당기업 차원뿐만 아니라, 정부의 노동정책의 변화가 해고 노동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신화를 보여주고 있다. 언술표현방식 중 내레이션을 <시사플러스>에서는 남자 해설자를, <시사프로젝트 통>에서는 여자 해설자로 각각 달리 함으로써 강인함과 부드러움을 표출했다. 스튜디오 영상표현방법에 있어서 <시사플러스>는 사회자 혼자 진행함에 따라 주로 미디엄 샷이 사용된 반면, <시사프로젝트 통>에서는 사회자 및 패널 3명이 출연했기에 미디엄 샷, 풀 샷, 클로즈 업 샷 등을 사용해 스튜디오 영상구도를 다양하게 연출하고 있다. 영상구성요소별 비중을 보면 <시사플러스>의 경우 인터뷰와 내레이션 비중이, <시사프로젝트 통>의 경우 내레이션과 진행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점을 별개로 해고노동자에 대한 현실재현은 두 텍스트가 유사하다. 두 텍스트는 기존의 소수자집단을 다룬 시사다큐들이 소수자집단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왔던 서사관습과는 달리 차별화된 서사방식으로 해고노동자를 주변인이 아닌 자기 목소리를 가진 당당함을 지닌 존재로 표출함에 따라 현실재현의 방식에 소수자집단을 다른 시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ie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structure, the representing reality convention and image structure of two TV current-affairs documentaries on the displaced workers in order to reveal the way in which a same issue is differently framed in same gen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image structural elements of Daejeon KBS’s <Sisa Project Tong> with that of Daejeon MBC’s <Sisa Plus> on the displaced workers. As a resul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wo TV programs and, the realities of the displaced workers represented in two TV programs were different. <Sisa Plus> saw displaced workers were suffering from inside the company. <Sisa Plus> focuses on solving the friction with them. On the other hand, <Sisa project Tong> approached as korea labor’s conflict structure level, <Sisa project Tong> shows myth that changes in the government’s labor policy can solve the problem about displaced workers. As on expression of statement, especially about narration, <Sisa plus> placed male narrator to give strength. Otherwise, <Sisa project tong> placed female narrator to give softness. This made each program different feelings. A method of video expression in studio, in <Sisa plus>, host was going alone. Therefore, medium shot was mainly used. <Sisa project Tong> appeared 3 people, host and panels. So <Sisa project Tong> used medium shot, full shot, close up shot etc. In short, <Sisa project Tong> express various studio video shots. With regard to image components, <Sisa plus> is listed interviews and narration, file footage. This shows that interview has importance. Otherwise, <Sisa project Tong> is listed narration, host and reporter, action footage. Relatively, <Sisa project Tong> was found to be a large part on host and reporter portion. Two text is same with respect to the reality representation of the displaced workers. The existing articles have been overemphasized the negative image about the minority group. On the other hand, Two text is expressed as the imposing presence about the minority group, in particular the displaced wo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