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절차상 인공지능기반 통·번역 애플리케이션 활용과 피의자 권리보장 (AI-based Translation in Criminal Procedure and the Protection of Suspect's Righ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1.09
28P 미리보기
형사절차상 인공지능기반 통·번역 애플리케이션 활용과 피의자 권리보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 13권 / 3호 / 147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한균

    초록

    최근 경찰은 네이버의 스마트폰 통역 애플리케이션에 치안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내용을 모아 적용하는 경찰 회화 기능을 추가하고, 그 통역기능을 현장 경찰관이 외국인 피의자 인권보호를 위해 사용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8년 경찰의 구글번역 애플리케이션 활용 압수수색에 대한 미국 연방법원 판결례는 인공지능기술 기반 프로그램의 기술적 측면과 법적 측면을 아우르는 신중한 검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인공지능기반 통·번역 어플리케이션의 형사절차상 활용과 관련된 문제의 핵심은 구글번역기와 같은 인공지능기술의 기능적 효과성보다는, 첨단기술기법 수용의 정당성이다. 즉 첨단기술을 활용한 실체적 진실발견과 국민인권보장의 가치실현의 정책목표와 우리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보장하려는 적법절차는 개발발전과정에 있는 기술에 대한 과학적 검증과 실무활용에 대한 법적 검토를 충분히 거친 후에야 실현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과학적 검증과 법적 검토의 신중함은 국민인권이나 편익 또는 민관협력이라는 명분과 첨단과학기술이 주는 아우라 때문에 뒤로 밀려나기 쉽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마땅한 신중함을 견지하려면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첨단과학기술의 형사사법적 활용에 대한 원칙의 정립과 정책도입단계에서의 검토와 정책투입활용단계에서의 검증이 체계화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이 개발한 인공지능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형사사법기관이 활용하는 문제도 향후 인공지능기반 형사정책도구의 도입활용여부와 관련해서 검토가 필요하다. 기업이 주도하는 인공지능기술의 공적 사용, 특히 형사사법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합법성과 공정성의 문제, 민간부문과 협력의 명분과 실용의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공적 통제 가능성이 확보될 수 있을지의 문제 역시 신중한 검토를 필요로 할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Korean police has introduced smartpone-based interpretation application for the protection of foreign victims and the rights of suspects. At this point, it is worth studying the 2018 case of US Federal District Court of Kansas. The Kansas court found the Google Translate’s “literal but nonsensical” interpretations changed the meaning of the officer’s questions, and as a result Cruz-Zamora’s consent to the search couldn’t really have been knowing. Professional interpreters testified that Google Translate offers only “literal word-for-word translations” and cannot take context into consideration. The court ruled that while it might be reasonable for an officer to use Google Translate to gather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defendant’s name or where the defendant was traveling, the court does not believe it is reasonable to rely on the service to obtain consent to an otherwise illegal search. The decision is especially notable because it comes at a time when courts around the world are increasingly considering relying on machine translation during legal proceedings.
    For introducing AI-technology based policy and tools in the criminal process, especially for promoting due process principles and the protection of suspect's rights, the criminal justice system shoud take both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of such policy and tools into accou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