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비사의 텡게리(Tenggeri) 신앙 고찰 ―돌궐ㆍ위구르 비문자료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enggeri Faith in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urk and Uygur Inscription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9.06
31P 미리보기
몽골비사의 텡게리(Tenggeri) 신앙 고찰 ―돌궐ㆍ위구르 비문자료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4호 / 349 ~ 379페이지
    · 저자명 : 박원길

    초록

    역사상 어느 문명권을 막론하고 문명권의 철학의 보여주는 종교가 존재하는데, 그 문명권의 핵심 코드는 그들 경전의 1장 1절에 담겨 있다. 즉 그 문명권을 구성하는 모든 존재의 원인자이자 역사배후의 원인자인 사상의 핵심과 요약이 담겨져 있다. 이는 『몽골비사』도 마찬가지다. 현존 『몽골비사』의 연구에서 가장 미비했던 분야의 하나가 종교 및 철학적 분야이며, 그 이유는 같은 문화권에 속한 돌궐이나 위구르 등의 사료들에 대한 비교연구가 철저히 행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몽골비사』제1절의 구조는 ① 북방문화원형, 철학(신학사상) 부분(Chinggis Khagan-nu huja’ur de’ere tenggeri-eche jaya’atu töregsen) ② 청동기시대 및 돌궐족계의 기원설화 부분(Börte-Chino aju’u. gergei inu Kho’ai-Maral aji’ai.), ③ 민족이동 부분(Tenggis ketüljü irebe. Onan müren-nü teri’ün-e Burkhan-Khaldun-a nuntuglaju), ④ 聖山 부분(Onan müren-nü teri’ün-e Burkhan-Khaldun), ⑤ 최초의 국가 부분(töregsen Batachikhan aju’u.(Bata irgen)) 등 모두 5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고는 ①의 <de’ere tenggeri-eche jaya’atu töregsen>에 대하여 I. <jayatu에 대한 해석> II. <de’ere tenggeri에 대한 해석> III. <북방민족의 Tenggeri에 대하여> IV. <jayatu의 실천방법과 역사적 영향>으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것이다.

    영어초록

    Regardless of any civilization in history a religion showing its philosophy of the civilization exists, and the main content is written down on the first line of the first chapter in their scriptures. The same can be viewed in de’ere tenggeri-eche jaya’atu töregsen. One of the less researched areas in the study of the book was on religion and philosophy due to lack of comparative studies of the Göktürks and Uyghur.
    In de’ere tenggeri-eche jaya’atu töregsen, on I Interpretation on jayatu, it is determined that philosophy in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would be religious fatalism. On II Interpretation on de’ere tenggeri, the author verifies that de’ere tenggeri should be viewed as a common noun, not a proper noun. On III About “Tenggeri” for Northern Peoples, historical records on heaven worship by Northern peoples, viewpoints on loyalty of heaven, interpretation of Möngke Tenggeri, and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structure of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are analyzed. On IV Parctice of jayatu and its historical influence, it is manifested that “Yosun (free will)” and “Road of Beki” are individual ways as the practice of the philosophy, and “Jasag” and “Zhushaihuji (諸色戶計)” is its political, legal, and economical revelation as logical true nature of Pax Mongolic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