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호·기주호는 종래대로 1등급을 더하여 각각 7등호, 8등호로 한다.)(5) 其諸色浮客及權時寄住戶等, 無問有官無官, 各所在爲兩等收稅. 稍殷有者准八等戶, 餘准九等戶.(부객이나 임시 ... 의 조세를 국가에 납부하는 형태였다. 그러나 급속한 인구 증가에 따른 토지의 부족, 장원 등의 사유지 형성, 부병제의 부담) 등 여러 요인으로 점차 逃戶가 발생하여 농민들이 토지 ... 아졌다는 것이며 농민층의 계층분화가 진행되어 소농민이 몰락하고 逃戶化하는 규모가 당 왕조가 괄호하고 재 파악한 것보다 더 크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다.2) 兵政의 紊亂과 藩鎭의 跋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