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요국들의 기후변화 대응 탈탄소․탄소중립 정책과 규범이 국내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Impact of Major Countries’ Decarbonization and Carbon Neutrality Policies and Norms on the Domestic Steel Industry and Proposed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23.10
38P 미리보기
주요국들의 기후변화 대응 탈탄소․탄소중립 정책과 규범이 국내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국제거래와 법 / 43호 / 107 ~ 144페이지
    · 저자명 : 심영규

    초록

    인류생존을 위협할 치명적 요소로서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됨에 따라 미국과 유럽연합(European Unions: 이하 “EU”라 함) 등 주요 선진국들 중심으로 탄소누출(Carbon Leakage) 문제가 주요 글로벌 통상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이들 국가는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무역체제 구축을 명분으로 기후위기 대응 관련 그린 전환 정책과 탄소무역장벽 등을 속속 도입하고 있거나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대표적인 탄소 집약적ㆍ다배출 산업으로 분류되는 국내 철강산업에도 중대한 영향과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철강 및 알루미늄 등 탄소 집약적ㆍ다배출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공정 및 생산방식’(Process and Production Methods: PPMs) 전 과정에서 친환경 탈탄소ㆍ탄소중립 기술ㆍ정책ㆍ법제도 등이 도입되는 경우 우리나라 역시 해당 산업 분야의 비용과 부담이 증가하고, 국제경쟁력도 약화하는 등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주요 선진국들이 속속 도입하고 있는 탈탄소ㆍ탄소중립 정책과 탄소무역장벽 등 기후위기 대응 통상정책이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미국과 EU 등 주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 통상정책 현황과 그러한 통상정책이 국내 철강산업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을 검토ㆍ분석하고, 그에 대한 몇 가지 법적ㆍ제도적ㆍ정책적 대응 방안을 정리ㆍ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현대 산업화 과정에서 산업ㆍ경제의 근간이 되어 온 철강산업이 환경 파괴적인 탄소 집약적ㆍ다배출 산업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향후 친환경 그린 전환 산업 분야로 성공적으로 재편되고, 대내외적 경쟁력을 더욱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국제사회의 탈탄소ㆍ탄소중립 정책과 탄소무역장벽의 시행은 이제 미래 실행 가능한 예측 시나리오 단계를 넘어 엄연한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 철강산업 분야도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경영 관행으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산업계의 노력, 이를 법적ㆍ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정부의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지원ㆍ투자정책의 설계와 실행, 최적의 대안과 개선방안을 찾고 제시하기 위한 전문가그룹/학계의 집단 지성과 지혜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영어초록

    In light of a growing consensus about the severity of climate crisis that threatens human survival,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U”) are introducing green transition policies and carbon trade barriers in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Accordingly, significant impacts and changes are expected to be inevitable in the domestic steel industry, which is classified as a representative carbon-intensive and high carbon emission industry.
    In this way, if environment-friendly decarbonization and carbon neutral technologies, policies, and legal systems are introduced in the ‘Process and Production Methods (PPMs)’ for carbon-intensive and high-carbon emission industries including steel and aluminum, there are also concerns that significant damage will occur in the domestic steel industry, such as the weakening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considerable increase in costs and burdens.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closely analyze the impact of trade policies on the steel industry, such as decarbonization and carbon neutrality policies and carbon trade barriers that major developed countries are introducing against climate crisi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the status of trade poli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on the domestic steel industry,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and proposes several countermeasures in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aspects. The author, through these discussions, hopes that the domestic steel industry, which has been the basis of industry and economy during Korea's industrialization era, will successfully be reorganized into an environment-friendly green industry, freeing itself from the stigma of being an environmentally destructive carbon-intensive and high-carbon emission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거래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