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유럽 특유의 가구형성규칙과 맬서스주의자의 항상성 모형: 인구학 패러다임의 탈종속화 (The Peculiar Household Formation Rules in Western European and Malthusian Homeostatic Models: Decolonizing Demographic Paradig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3.06
26P 미리보기
서유럽 특유의 가구형성규칙과 맬서스주의자의 항상성 모형: 인구학 패러다임의 탈종속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인구학 / 36권 / 2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용

    초록

    이 글은 우리에게 생소하지만 매우 중요한,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의 사회과학(가족인구학도 포함하여) 연구들에서 거의 간과되었던 맬서스주의자의 항상성 모형과 서유럽의 독특한 가구형성규칙들(혹은 맬서스주의 결혼체제)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이 글은 맬서스 항상성 모형의 속성과 혼인력(특히 도덕적 제약의 요소인 혼인연령과 비혼)의 변동을 통해 유지되어 왔던 영국의 저압체제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로, 영국에서 저압체제가 유지되게 만들었던 항상성 기제인 서번트 체제와 맬서스결혼체제를 이야기한다. 이 체제들은 혼인 시점에서의 경제적 독립성을 강조했고 또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보다 배우자 간의 관계인 부부관계를 최우선시 하였다. 이런 특성은 비서구사회의 가족주의 확대가족 특성들과 극명히 대비된다. 세 번째로, 유럽 이외의 사회에서는 출산력과 관련된 항상성 기제가 부재했다는 맬서스의 주장과 달리 중국과 인도에서도 출산력과 관련된 항상성 기재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서유럽의 항상성 기제는 출산연기와 같은 혼인력 변동이었지만, 중국과 인도의 항상성 기제는 유배우 출산력 통제였다. 게다가 항상성 기제는 영국과 같은 무의식적인 개인적 차원의 합리성이 아니라 의식적·집합적 차원의 조정에 의해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발견들에 근거하여 서구사회이론의 틀에서 개발된 사회정책이 그 토양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비판적으로 비서구사회에 적용되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addresses the novel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ostatic model and the particular household formation rules in Western European (or Malthusian marriage system). Firstly, I examine the utility of Malthusian homeostatic model explaining the existence of the low-pressure regime in England which had been maintained throughout the shift in nuptiality (especially ages at first marriage and the higher proportions of the never married women). Secondly, it was considere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both servant system and Malthusian marriage system in England, which emphasizes both the independence of household at marri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rdly, contrasting to the Malthusian assumption, which argues that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homeostatic mechanisms related to fertility in Non-Western societies, the evidence had been existed. It is due that fertility rates in Non-Western societies had been controlled by the marital fertility, instead of the nuptiality. Moreover, the institutions underpinning homeostasis in China and India are based on the conscious collective intervention, not on the unconscious individual rationality that is commonly in England.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ncludes a set of social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warnings against careless adaption of a framework of Western social theories into social and population policies, which could have been dangerous to the Non-Western societies (including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인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