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탁오(卓吾) 이지(李贄)의 불교사상과 그 의의(意義) (The Buddhist Thought and Its Significance of Li Zhuowu)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3 최종저작일 2019.12
26P 미리보기
탁오(卓吾) 이지(李贄)의 불교사상과 그 의의(意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0호 / 361 ~ 386페이지
    · 저자명 : 김진무

    초록

    이탁오는 만명(晩明)시기에 활동했던 인물이다. 이 시기는 송대로부터 건립된 ‘이학’이 점차 그 맹점을 노정하고 있었고, 그에 대한 반성으로 심학(心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심학을 계승한 왕양명의 ‘양명학’이 유행하였다. 양명학은 조사선의 종전(宗典)인 『육조단경』에 깊은 영향을 받았고, 그에 따라 많은 유학자들과 관료사대부들이 불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양명학의 유행은 송대 이후로 쇠락해 가던 불교를 부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결과적으로 운서주굉(雲棲袾宏), 자백진가(紫柏眞可), 감산덕청(憨山德淸), 우익지욱(蕅益智旭) 등 이른바 명대 ‘사대고승’을 출현하여 한때 중흥기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그 중간에 매개적 역할을 했던 이가 바로 이탁오라고 하겠다.
    이탁오 역시 초기에는 ‘이학’을 공부해 관료생활을 하다가 양명학에 매료되었고, 관직을 그만 둔 이후에는 전적으로 불교공부를 하였으며, 만년에는 스스로 삭발하여 승려의 모습으로 활동하다가 결국 감옥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 생을 마쳤다.
    이탁오의 불교사상은 양명학의 영향으로 삼교합일의 특색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육조단경』으로부터 비롯된 조사선의 사상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은 이탁오가 독창적으로 제시한 ‘동심설(童心說)’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탁오의 불교저술인 『화엄경합론간요』, 『반야심경제강』, 『정토결』에서도 조사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특히 『정토결』은 조사선의 ‘유심정토(唯心淨土)’의 사상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이탁오를 숭상하고, 청대 불교의 혜명이 끊어질 위기에 불법을 되살린 팽제청과의 영향관계를 논했다. 팽제청은 ‘정토’와 이통현의 화엄을 결합하여 ‘화엄정토’를 제시하고, 또한 ‘거사불교’를 제창하였는데, 이는 이탁오의 영향이 절대적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사상사적인 입장에서보자면 청대 팽제청은 근대와 현대의 중국불교에 절대적인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팽제청으로부터 공양학파(公羊學派)의 공자진(龔自珍), 위원(魏源)으로 계승되고, 이들의 사상은 근대의 양문회(楊文會)로 계승되어 민족불교로서 정립되어 송대 이후로 쇠락한 불교가 다시 사상적 주류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팽제청과 공자진, 위원도 중요하지만, 이탁오의 역할도 결코 무시할 수 없음을 본 논문에서 밝혔다.

    영어초록

    Li Zhuowu(李卓吾) was a figure who was active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In the period, the "Neo-Confucianism" constructed from Song Dynasty gradually revealed its blind spot. As a result, Wang Yang Ming's 'Yang Mingxue(陽明學)' became popular. Yang Mingxue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which led many scholars and bureaucrats to become interested in Buddhism. This trend of Yang Mingxue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vive Buddhism, which has been declining since Song Dynasty. As a result, the emergence of so-called 'Four Eminent Monks in Ming Dynasty', such as Yunxi Zhuhong(雲棲袾宏), Zibo Zhenke(紫柏眞可), Hanshan Deqing(憨山德淸), OuYi ZhiXu(蕅益智旭) led to a period of revival. It was Li Zhuowu who played a mediator in the middle.
    Li Zhuowu was also fascinated by Yang Mingxue while living as bureaucracy after studying Neo-Confucianism in his early life. After he left office, he studied entirely Buddhism. In his later years, he shaved hair and acted as a monk, ending up in prison by killing himself. His works and writings still attract the attention of many people and are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It is not only a theoretical writing but also a reflection of his ideas in his life itself. In this paper, we discussed influence of Pengjiqing(彭際淸), who revered Li Zhuowu and revived Buddhism in the midst of the disappearance of Buddhism in Qing Dynasty.
    Pengjiqing combined 'Jingtu(淨土)' and Litongxuan(李通玄)'s 'Huayan(華嚴)' to present 'HuayanJingtu', and also proposed 'layman Buddhism'. In many respects, it can be found that the influence of Li Zhuowu was absolute.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y of thought, Péngjìqīng in Qing Dynasty i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Buddhism. In particular, he was succeeded by ‘Gōngyáng school(公羊學派)’ such as Gōngzizhen(龔自珍), Weiyuan(魏源) in Qing Dynasty to Yangwenhui(楊文會) in the modern society. Their ideas were established as national Buddhism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inging Buddhism, which had declined from since Song Dynasty, to become an ideological mainstream. This paper revealed that Li Zhuowu role was very important in this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