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테존과 쿡의 음형이론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노래의 정서 함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Implication Based on the Music - Figure Theory of Mattheson and Cooke in Elementary School Song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6.06
20P 미리보기
마테존과 쿡의 음형이론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노래의 정서 함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27권 / 2호 / 121 ~ 140페이지
    · 저자명 : 방금주, 박정미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에서 초등 학습자가 배우고 경험하게 되는 노래들이 어떠한 정서들을내포하고 표현하는가를 음형 - 정서에 관한 대표적 이론인 마테존과 쿡의 음형패턴이론에 근거하여 분석, 고찰함으로써 현재 사용되는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수록곡의 음악 - 정서 표현의 측면을살펴보았다. 음악이 다양한 정서를 내포하고 있고 음악적 정서에 관한 문제는 현대음악교육철학에서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과 정서의 구체적인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특히감성적으로 민감하게 음악적 소리를 수용하는 초등학습자와 음악적 자극으로서 노래와 연관된음악 - 정서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테존의 이론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조성·리듬과 정서 표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쿡의 이론을 통해서는 음고패턴과 정서표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대다수의 초등학교 노래들은 가사가 담고 있는 밝고 기쁜정서들은 이들 음형이론에서 제시했던 관련 음패턴과 거의 일치하였다. 하지만 선율이 지닌 음악적 표현은 근본적으로 다양한 유형과 차원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기쁨, 밝은 분위기, 충족감, 당당함, 희망, 평화로움 등으로 제한된 정서는 음악적 표현 또한 제한적으로 특정 범주에만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졌다. 따라서 학교사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겪게 되는불안감, 연민, 슬픔, 자아, 공동체에 관한 정서에 관한 표현에 있어서 장조에 기반한 곡들이 대부분이고 상대적으로 단조 곡들이 나타낼 수 있는 정서들이 확연히 결여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적 관점에서 학교노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재인식되고 창출되어져야한다. 첫째는 보편적 음악 - 정서적 측면에서 시대와 문화권에 상관없이 모든 문화권의 초등학습자에게근원적으로 다루어지는 정서표현의 악곡들에서도 표현기법들의 다양성이 심도 있게 반영되어야한다. 둘째 현대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시대적합성을 띠며 초등학습자가 동화, 공감할 수있는 이시대가 요구하는 정서들이 적극적으로 학교노래에 다루어져서 창출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Examination of the emotional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ongs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music-figure theories of Mattheson and Cook. Music as sonic-patterns intrinsically embraces diverse emotional meaning and its affective representation can be perceived by the listener. This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emotional experience on how music can evoke emotion and its effects on the perceiver are regarded as important educational issue in contemporary music educational philosophy. In spite of considerable emphasis regarding emotional and affective aspects of the music experience not only theoretically but also practical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veal the concrete relatedness on which specific emotion and feelings can be aroused and provoked by which specific musical factors. Elementary school learners are still developing their sensibility about music-sonic auditory stimulus. Thus, musical elements such as tonal keys and rhythm, and their relative emotional expressions in Mattheson’s theory, and pitch patterns and emotional expressions in Cooke’s theory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ompare the musical appearance of different song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ies and emotions presented by lyrics in most of the school songs is consistent with the music-figure patterns which were elaborated by the two music aestheticians. However, in terms of musical elements used to express diverse emotional dimensions, most of the songs are based on major tonality, restricted rhythmic and pitch patterns and emotions. In conclus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matters of expressing diverse musical idioms and universal commonality of humanity which can encompass emotions such as sympathy, sorrow, sadness, empathy towards the isolation, separation and weakness as parts of the whole entity should be considered. Second, the emotions which exists and are prevalent in every corner of the school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e contemporary world should be reflected in the school songs to allow the students to assimilate their feelings and empat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