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불교 선정론에 있어서 케짜리 무드라의 재발견 (A Study on the Khecarī Mudrā in the Meditation theory of Early Buddhism)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0.06
44P 미리보기
초기불교 선정론에 있어서 케짜리 무드라의 재발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28호 / 133 ~ 176페이지
    · 저자명 : 양영순

    초록

    일반적으로 붓다를 정각으로 이끈 정통적인 수행은 중도에 기반한 사선성과 삼명통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고는 정각 이전 6년간 바라문의 선정과 당시 사문들의 단식고행 등의 수행이 붓다의 정각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대표적으로 '삿짜까에 대한 큰 경'에 나타난 ‘혀를 입천장에 말아 올리는 기법’이 동시대 불교 수행과 유사한 내용을 다수 담고 있는 '마이트라야니야 우파니샤드', '비슈누스므리티' 등에 나타난다. 이 기법은 이후 신체를 단련하는 하타요가에서 핵심적인 중요 무드라, ‘케짜리 무드라’의 일상적이고 초기적인 형태인 ‘나브호 무드라’와 같은 것이다.
    본고 Ⅱ, Ⅲ장에서 이 기법의 정의 및 방법, 그리고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케짜리비드야', '하타요가프라디피카' 등의 다양한 하타요가 문헌에서 자세히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Ⅲ장에서 초기불전에 나타난 각종 케짜리 무드라 관련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Ⅳ장에서는 케짜리 무드라와 관련된 지식호흡(쿰바카) 및 광명상 수습(샴바비무드라 관련)을 종합하여 초기불교의 선정론의 맥락에서 케짜리 무드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기불전에서 ① 케짜리 무드라라는 용어는 나타나지 않지만, 신체의 수습(kāyabhāvanā)으로서 혀를 입천장에 대면서 하는 명상이라는 점에서 초기 형태의 케짜리 무드라(= 나브호 무드라)가 분명히 나타난다. ② 방법은 숨을참는 지식호흡과 병행하여 행하며, ③ 효능은 기아와 갈증의 극복이라는 신체적인 일뿐 아니라 부정적 사유를 억제시키고 고요한 명상상태로 진입하도록 돕는 것으로서, ④ 이는 더 나아가 사유를 중지시키는 궁극적인 기법과도 관련되어 있다.
    ⑤ 또한 케짜리 무드라는 빛을 관상하는 광명상 명상의 전단계로서 기능하기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⑥ 마지막으로 구차제정으로 종합된 초기불교 선정론에 있어서, 케짜리 무드라의 내적 작용과 본질이 공무변처정 뿐 아니라 비상비비상처정, 상수멸정에 이르는 주로 사무색정과 깊이 관련됨을 유추할 수 있다.

    영어초록

    Generally, the orthodox practice that the Gautama Siddhartha to the First Enlightenment(正覺) is considered the four meditation(四禪) and the three super knowledge(三明), which is based on the midway(中道).
    However, this paper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the meditation(dhyāna) of Brahmana and fasting practice of Śramaṇa for the past six years effected on the Buddha's practice directly or indirectly. In particular, “Technique for placing the tongue on the palate” in Mahāsacchaka Sutta is shown in Maitrāyanīya Upaniṣad, Viṣṇusmṛti etc. These texts contain many similar contents to contemporary Buddhist practice. And This technique is the same as the “Nabho Mudra,” which is a daily and accessible version of the “Khecarī mudrā”. This mudrā is an important essential practice in Haṭhayoga.
    In chapters Ⅱ and Ⅲ of this paper, I reviewed the Kecarī mudrā's definition, method, and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of Kecarī mudrā in detail from the Haṭayoga literature. I analyzed the contents of Kecarī mudrā in various text, which is the Khecarīvidyā, Gorakṣaśataka, Haṭhapradīpikā, Geraṇḍasaṃhitā. Furthermore, in chapter Ⅲ, the contents of various Khecarī mudrā that appeared in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 were analyzed. Particularly, in chapter Ⅳ, the breath-holding(kumbhaka, 止息) and the practice of light meditation (related to Śāmbhavī mudrā) were synthesized in the context of the early Buddhist Meditation the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 Firstly, the term Khecarī mudrā does not appear. However, the easy form of Khecarī mudrā(= Nabho Mudrā) is apparent in that it is a meditation that puts the tongue on the palate as a physical practice(kāyabhāvanā). Secondly, The method is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breath-holding. Thirdly, It has a physical effect that overcomes hunger and thirst, and also has a mental effect that suppresses thoughts and makes a calm meditation state. Fourthly, the technique has the efficacy to stop distracting thoughts. Fifty, it can be seen that it also functions as a preliminary stage of meditation of light(光明想), which contemplates light. Sixty, it can be inferred that in the early Buddhist meditation theory, the Nine-steps of meditation(九次第定), the function and essence of Khecarī mudrā are deeply re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