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성장하는 기독교공동체로서의 교회개념을 중심으로 (Karl Barth’s Doctrine of the Church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16.01
28P 미리보기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성장하는 기독교공동체로서의 교회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99호 / 29 ~ 56페이지
    · 저자명 : 김영관

    초록

    칼 바르트(1886–1968)의 신학은 “그리스도 중심주의”에 기초하며, 그 의 교회론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계시되고 기록되어 선포된 그 삼위일체 하나님 말씀진리의 실존적인 역사성과 현실성을 강조한다. 20세기 초 비 성경적인 관점에서 주창된 독일교회 지도자들의 왜곡된 정치참여의 정당 성을 강하게 비판했고, 교회는 온전히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진리를 설파 하며 그 말씀 안에 계시되고 기록되어 선포된 창조주 하나님의 유일성이 고수되어야 함을 바르트는 강조했다. 또한 교회공동체들의 급진적인 세속 화와 이로 인해 파생된 자유주의신학과 염세적이며 관념적인 철학사상들 과의 융합주의적인 신학연구 방식을 거부했다. 이 지상의 모든 교회들의 우선적인 사명은 어제나 오늘이나 내일이나 변함없이 2천 년 전 나사렛 시골동네에서 목수의 아들로 성육신하신 그 예수 그리스도의 겸손한 주인 성과 메시아성 양자 모두를 더욱더 강력히 선포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교 회의 지속적인 성장이 유지될 수 있음을 바르트는 역설했다. 따라서 본 논 문의 목적은 칼 바르트가 그의 저서 Church Dogmatics 4권에서 주창하는 “성장하는 기독교공동체”로서의 교회개념을 정리–분석하기 위함이다. 또 한 21세기 현대 기독교 교회공동체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지체들로서 추 구해야 할 진정한 성장모형과 성장목적 그리고 그에 따른 세상 안에서의 사명들과 책임들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맹목적인 양적– 수적 성장을 거부하며 순수한 복음전파 사명에 충실해야 할 기독교 교회 공동체로서의 그 존재 본질과 실존성을 강조하는 바르트의 복음주의 신학 적 관점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분석했다. (1) 기독교 교회공동체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성령님의 초월적이시며 일깨우시는 초자연적 인 능력, (2) 교회공동체 성장에 필수적인 상호적인 사랑의 실천, (3) 교회 공동체 성장에 기초가 되는 아가페 사랑의 실천, 그리고 (4) 교회공동체 성장에 결속력을 제공하는 믿음과 소망개념.

    영어초록

    Karl Barth’s Doctrine of the Church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Young–Gwan Kim Visiting Researcher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arl Barth(1886–1968)’s doctrine of the Church by focusing on his concept of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explicated on his book Church Dogmatics IV.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how Barth understands the genuine model and the goal of the Church growth in the 21st Century. Accordingly, this paper pinpoints Barth’s Christocentric ecclesiology, which not only emphasizes the Church as the earthly and historical body of Jesus Christ in terms of her given task and responsibility as the faithful Christian community in this world, but also her ultimate task as the proclamation of the truth of the Gospel revealed, written, and spoken in Jesus Christ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perfect salvation in this world rather than expanding simply the number of congregation or constructing church buildings.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comprehensively Barth’s concept of the Church as the Upbuilding Christian community as follows: (1) The Holy Spirit as the Quickening, Transcendental, and Supernatural Power for the Upbuilding of the Christian Community; (2) The Mutual Love as Essential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3) Agape–love as the Foundation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and (4) Faith, Love and Hope as the Bond for the Upbuilding of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