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자와 예수의 교육철학에 담긴 가르침과 배움의 상보적 관계 (The Inter-foste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Confucius and Jesu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07.02
26P 미리보기
공자와 예수의 교육철학에 담긴 가르침과 배움의 상보적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8호 / 113 ~ 138페이지
    · 저자명 : 심승환

    초록

    이 연구는 가르침과 배움이 과연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공자와 예수의 교육사상과 그들의 교육적 실천을 고찰한다. 역사적으로 위대한 스승으로 존경받아 왔고 한국 사회에 종교, 문화적으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공자와 예수가 가르침과 배움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는가를 밝힘으로써 보다 나은, 올바른 교육을 구상하고 이끄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공자의 사상과 교육실천에서 가르침은 배움을 기반으로 하여 시행되고 가르침을 통해 더 깊은 배움을 낳기 때문에 이 양자는 서로를 조장하고 보완하는 관계임을 보여준다. 또한 예수의 가르침은 배우는 자의 의지와 노력과 경험을 통해 완성되며 배움은 다시 가르침으로 열매 맺는 상호 조장적이며 보완적인 관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가르침과 배움의 상호적 관계는 현대 교육에서 보다 완전하고 올바른 교육을 시행하는 데 기초가 되며 교사교육과 평생교육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Teaching cannot exist alone without learning because there should be objectives of teaching such as leading learner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lso, learning cannot exist alone without teaching because every learning is based on direct or indirect guidance of teaching. Even reading a book is an interaction between a reader and an author in which the author teaches the reader indirectly. Paulo Freire points out that the authentic education is the perfect mutual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a pupil. This study examines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Confucius and Jesus. These two educators have been influential to the Korean society including educational contexts. By discovering the insight of mutuality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se two educators, this study expects to plan a more authentic and complete educational practice in the present Korean society.
    Confucius and Jesus emphasizes and exemplifie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ir thoughts and educational practices. Confucius indicates that one learns from the modeling and teaching of seniors and one can teach others on the basis of learning. Also, when one teaches others, he learns something either during the preparation for teaching or during the interaction with learners. Therefore, teaching fosters learning at the same time learning fosters teaching. In the Parable of the Sower, Jesus shows that there should be motivation, will, and patient effort of learners in addition to teaching of teachers to achieve a good educational result. Also, Jesus, in the interaction with Mary and Peter, exemplifies that teaching can become complete when learners participate in and respond to the activity.
    The inter-foster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gives insights to the present educational practice. First, teachers should listen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students and give them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f teachers ignore the needs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the teaching will become monologue or indoctrination which is inauthentic education. And learners should listen to the guidance of teachers lest that they should fall into a wrong decision-making. Second,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themselves through teaching and interacting with students. Rather than falling into inertia, teachers should realize that they can discover and complete the true self when they meet the various voices of students, develop creative curriculum, invent teaching skills, and learn new things through their teaching activities. Third, students can develop autonomous and democratic attitude in social activities through mutual and subjective participations in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