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좀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들의 바깥놀이: 달팽이와 우연한 마주침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Seen with a Rhizomatic Perspective: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Snail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2 최종저작일 2022.11
19P 미리보기
리좀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들의 바깥놀이: 달팽이와 우연한 마주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22호 / 349 ~ 367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민, 이현진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바깥놀이에서의 경험과 배움의 과정을 리좀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리좀 지도를 통해 나타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바깥놀이의 진정한 가치와 놀이의 양상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표피적인 가치로만 인식되는 바깥놀이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B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5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시각적 연구방법을 진행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시각적 연구방법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유아들의 놀이 전후 상황과 긴밀한 관계 파악을 위해 반구조화된 면담을 함께 진행하였다.
    참여관찰과 시각적 연구방법,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은 김영천(2016)이 제시한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Lincoln과 Guba의 ‘신뢰성’ 준거(1985)를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비 오는 날 산책길에서 달팽이와의 우연한 마주침으로 시작된 유아들의 놀이는 끊임없는 연결과 접속을 통해 생성되었다. 달팽이와 우연한 마주침으로 생성된 유아들의 놀이는 우연한 마주침, 우연의 유희, 연결과 접속 그리고 의미생성, 배움의 장으로 들어서기, 위치를 벗어나 함께 배우기, 새롭게, 그리고 한계 없이 사유하기로 범주화되었다. 유아들은 연결과 접속을 통해 생성된 놀이에서영토화를 거부하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배치와 욕망을 추구하며 탈영토화를 시도하는 유목민으로 존재하였다. 그로 인해 유아들의바깥놀이는 시작과 끝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땅속으로 수없이 파고들고 뻗어 가는 뿌리와 같이 비선형적이고 리좀적 특성을 지니고있었다.
    결론 리좀의 특징을 지닌 유아들의 바깥놀이는 하나의 중심에 귀착되어진 수목형 관점으론 이해될 수 없으므로, 연결과 접속에 따라정형화되지 않고 변화하는 리좀적 관점을 통해 바라보기 위한 교사와 성인들의 관점 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유아들은 놀이공간과시간, 놀이방법 등에 변주와 탈주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을 때 비로소 놀이주체자로서 세계와 만나고 사유하며 배움을 생성해 갈 수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article aims at reviewing the processes of experiences and learning in outdoor plays with a rhizomatic perspective, drawing them through a rhizomatic map, confirming authentic values of outdoor plays and their apsects, and making new suggestions for outdoor plays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superficial values on site.
    Methods For thi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visual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52 five-year-old young children of A Kindergarten in B city. And in order to figure out before and after the plays of the children, who cannot be figured out easily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visual research method, and their close relationship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visual research method,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clusive analytic procedures based on the Pragmatic Eclecticism suggested by Young-cheon Kim(2016) and the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the evidence of the ‘Credibility’ of Lincoln and Guba(1985).
    Results Young children’s outdoor plays starting from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snails on the way to walk on a rainy day were created through endless connections and contacts. Their plays created by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snails were categorized into an accidental encounter, recreation by chance, connections and connects, creating meaning, entering into the site of learning, dislocating and learning together, and thinking newly and without limit. Young children exist as nomads who reject territorialization, pursue new arrangements and desir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resent time and try deterritorialization. Therefore, young children’s outdoor plays have neither start nor end and show non-linear and rhizomatic characteristics like roots digging into and stretching out underground endlessly.
    Conclusions Young children’s outdoor plays with the rhizomatic characteristics could not be understood with a tree-type perspective concluded with a center and they require teachers and adults to change their perspectives to the rhizomatic one which is not fixed but changing. And young children can meet the world, think and create learning as actors in plays when they have possibilities of changes and dislocation in play venue, time, play methods,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