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pply Chain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n Fir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1 최종저작일 2012.06
24P 미리보기
한국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9권 / 2호 / 183 ~ 206페이지
    · 저자명 : 명창식

    초록

    기업의 환경경영 패턴이 사업장에서의 오염물질 규제위주에서 제품과 서비스의 환경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환경경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조공정에서 뿐만 아니라 공급사슬관리 전체에서 관리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변화에 따라 환경경영에서 친환경공급사슬관리(SCEM: Supply Chain Environmental Management)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이론적 토대는 공급사슬관리이며, 기존의 공급사슬관리에 기업의 환경경영 정책과 목표를 적용한 것으로 공급사슬관리가 확장된 개념이다.
    친환경공급사슬관리는 공급사슬 전체에서 최소한의 자원 및 에너지 사용과 배출 물질 저감을 통해 환경영향을 줄이고 효율적 환경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최종완성업체의 환경경영활동만으로는 환경경영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급업체와 함께 참여해야만 가능하다는 판단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 도구로서 각종 환경규제에 대한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할 뿐 아니라 기업의 환경성과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환경경영 연구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도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실제 사례를 통하여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일반적 특성과 나아가서 산업별, 기업군별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는데,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사례 기업으로 LG전자, 삼성전자, 기아자동차, 현대자동차, 포항제철, 그리고 현대제철이 선정되었다. 이들 기업에서 매년 발행하는 <지속가능보고서>가 사례분석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 구매, 생산 및 물류, 회수 및 재활용, 그리고 공급업체 환경지원활동을 측정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분야에서 기업의 환경관리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내용을 분석하여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특성을 평가 한다. 우리나라 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특성을 찾아보는 데 연구목적이 있는 본 연구는 다음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친환경공급사슬관리 이론적 이해를 위하여 환경경영의 연구동향과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방법으로서 사례연구의 당위성과 사례연구에 포함된 기업의 선정이유를 규정하였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대표적 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 운영 실태를 통하여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특성을 찾아보고 있다.
    그 결과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동인은 구매기업의 내부요인 보다 구매기업이 직면한 외부 환경 특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되고 있었다. 즉 구매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국내적 환경규제나 해외시장진출 지역의 환경 규제에 대한 대응의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친환경공급사슬관리가 제조업체와 부품공급업체의 협력관계에 의한 공동의 노력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제조업체의 일방적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구매기업과 공급업체간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가 아직은 1차 협력업체에 중점을 두고 있고, 2차 협력업체와의 구체적이고 정형화된 체제는 구축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산업별 특성 면에서, 산업재인 철강 산업과 일반 소비재 산업인 전자와 자동차산업과는 차이가 있었다. 철강 산업에서는 기반 구축 단계에 있었고, 공급업체와 보다 발전된 협력관계가 발견되지 않고 있었다. 전자산업의 경우 EU의 환경규제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었고, 자동차 산업의 경우 협력업체 관리를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 군별 비교에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사례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이다. 제한된 기업 사례를 가지고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는 문제점이 있으나, 향후 모델링을 통한 실증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환경경영의 선도적 기업 사례를 통하여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실제를 보여줌으로서 기업의 친환경공급사슬관리의 구축과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greenhouse gas, and etc, are spreading out worldwide. Dramatic increase of social concerns on the environmental problem has been leading companies to take into account environmental issues in strategic decision-making. Moreover, because environmental management is on the rise as a significant issue in securing firm's future competitiveness, company is establishing a strategy of green growth. Some doubts about corporate environmental strategy, however, still remain unsolved.
    SCEM is the concept of reducing environmental effect on the outside of purchas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delivery, and distribution process. An ultimate aim of SCEM are to obtain environmental stability and an operational efficiency which is related with energy and materials. Although the importance of greening supply chain has been highlighted, many former researches were often based on case studies of specific industry and didn't provide clear definition of environmental supply chain management which includes fundamental notions for business practitioners.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s how the SCEM system practically runs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SCEM is in Korean firms through case studies.
    I analyzed the cases under five categories: eco-friendly design & products development, green purchasing, production & logistics, take-back & recycling and environmental supporting for suppliers. Those are selected through reviewing theoretical literatures which was published.
    Four companies including LG electronics, Samsung Electronics, Kia Motora, Hyundai Motors, POSCO, and Hyundai Steel was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case studies. They are leading companies which has been implemen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 and has been annually publishing Sustainability Report.
    Sustainability Report is a key sources of data and contents included in cases. Additionally interview with managers of companies which is in charge of environmental affairs was attempted.
    It is suggested that SCEM is more effectiv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rather than by making limited eco-innovation. Korean firms have considered that a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is more important than customers' needs for environmental goods for implementing SCEM. The collaborative relations between manufacturing company and parts-suppling company make an important effect on SCEM. but it was implemented by one-sided lead of manufacturing company. Considering industrial characteristics, there is som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 goods and industrial goods. Auto mobile and electronic industry which is producing a consumer goods make actively a response to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Also they are more elaboratively tied with the parts and material firm.
    Finally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SCEM comparing the category of Hyundai Group and other category including Samsung, LG and Posco. It means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n firms is needed and implemented by external environment rather than CEO' managerial philosoph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developing strategies for SCEM concerning which direction a firm should focus on, and which process a firm should interest on. It also provides helpful insight on the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lso these findings give an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because this study is implemented on an exploratory basis.
    However, it has some limitations which should be dealt with in further studies. Environmental strategy and its change need a longitudinal study. Also various elaborate research methods should be designed to trace the change of environmental strate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